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시간대별로 심해지는 안면홍조, 한약으로 치료해야

최영기자 | 입력 14-06-01 21:50

최근 일교차가 큰 날씨로 인해 안면홍조가 심해져 고민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요즘에는 낮과 밤의 온도차가 큰 만큼 증상이 심해지는 정도가 시간대에 따라 다른 경우가 많은데, 이를 한낮에 심해지는 유형과 저녁에 심해지는 안면홍조로 나눌 수 있다.

한낮에 심해지는 안면홍조는 태양이 지구를 데워 외부온도가 가장 높을 때 발생한다. 시간은 오후 2시~4시로 이 시간대 전후로 증상이 심하다.

한방에서는 한낮에 얼굴홍조가 심해지는 원인을 심열(心熱: 심장의 열, 화와 마음속 상처로 인한 항진상태)로 인해 발생한다고 본다. 한낮에 심해지는 안면홍조는 증상이 화끈거리고 따가운 정도가 특히 심하며, 빠르게 열이 오르고 빠르게 식는다.

이러한 한낮의 안면홍조증상이 있는 사람들은 대개 성격이 화통하며, 화를 잘 참지 못하고 가슴이 답답하여 잠을 이루기 어려운 것이 특징이다.

한낮의 안면홍조를 가라앉히기 위해서는 가슴속 화를 성질이 차가운 약재를 사용하여 치료하여야 하며, 매운 음식과 음주 및 흡연은 화를 돋우니 피하는 것이 좋다.

반면 초저녁과 심야에 악화되는 안면홍조는 체온이 낮아지며 안정을 취해야 할 시간에 그렇지 못할 경우 발생하는데, 주로 해가 지는 저녁 6시부터 잠들기 전까지의 시간이다.

이는 음혈(陰血: 몸속 혈액, 림프액, 골수와 같은 인체를 구성하는 액체 상태의 물질, 외부에서 유입된 수분을 제외한 것)이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체온을 낮추는 안정화 과정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나타나는 현상이다.

야간에 심해지는 얼굴홍조는 증상이 서서히 나타나고 진땀이 나면서 천천히 식는다. 이는 갱년기에 음혈(陰血: 위에서 설명)이 부족해져 발생하거나, 수술 또는 야간업무, 출산으로 인해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이런 경우 허열(虛熱: 몸이 허하여 미열이 오르는 상태)을 내리는 순한 약재와 다시 열이 오르지 않도록 몸속 음혈(陰血)을 보충하는 치료를 한다.

더불어 몸속 음혈을 소모시키는 사우나, 땀을 심하게 내는 운동, 부부관계, 야근은 치료가 될 때까지 피해야 한다.

이와 관련해 힐링한의원 서향연 원장은 “안면홍조는 발생하는 시간과 과정, 그리고 환자의 몸 상태에 따라 증상이 다르다. 따라서 안면홍조의 특징을 파악하고 진찰을 통해 보다 확실한 원인과 치료법을 찾아야 효과적이다. 한낮에 발생하는 안면홍조는 가슴속 열을 내리는 청열약재(=열을 식히는 약재)가 처방의 주된 구성이 되고, 저녁과 심야에 악화되는 안면홍조는 자음약재(=음혈을 보충하는 약재)가 처방의 주요약재가 된다”고 말했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대전아이누리 한의원, 저소득 취약계층 아동들에게 의료봉사 실시
이전기사글이 없습니다.
클리닉투어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6천만 원 목걸이, 김건희가 받았다"...'건진법사..
"집값 떨어지면 사라" 발언 이상경 차관, '갭투자..
백악관 "트럼프 아시아 순방 중 김정은 만날 일정 ..
단독) 홍익대 2025 홍익패션위크 Fashion ..
최민희 'MBC 본부장 퇴장' 조치에...여당 내부..
성심당, 11월 3일 전 매장 '임시 휴무'...사..
통합자세의학회·㈜파이온텍 학술 바이오 연구 협력 ..
주말 늦가을 날씨 만끽...다음 주 '초겨울' 강력..
속보) 코스피, '꿈의 4000' 목전...장중 3..
"두 번" 대 "일곱 번"...국감장서 정면충돌한 ..
 
최신 인기뉴스
속보) 한국은행, 기준금리 연 2.50%로 3연속 ..
칼럼) "휴먼다큐 사랑" 우리가슴에 forever
정청래 "조희대, 사법부 수장 자격 이미 상실…거취..
단독) 통합자세의학회, 한국미디어일보 의료학술단체 ..
"코로나 진원지" 신천지 이만희, 적십자 회장 표창..
최민희 과방위원장의 "보도 항의"성 퇴장 조치, 한..
북한, 5개월의 침묵 깨고 동해상 탄도미사일 발사...
국내 금 "김치 프리미엄" 20% 육박 후 8%대로..
"제주 4·3 김일성 지시설" 발언 태영호 전 의..
경찰 창경 80주년, '보라색 혹평' 딛고 새 경찰..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