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자미한의원, 9시 등교 활용법

송윤성 기자 | 입력 14-09-03 08:13



이번 주부터 경기도 대부분의 학교가 9시 등교에 들어갔다. 찬반논란을 뒤로하고 시행된 이 제도에 맞춰 수면부족에 시달리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수면실태에 대해 돌아보자.

자미한의원은 최대 30분에서 1시간까지 여유로워진 아침 시간을 잠을 보충하는 데 활용할 경우 피로 개선과 학업능력 향상을 기대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1. 부족한 수면은 학업능률 떨어뜨려
우리가 수면을 취할 때 뇌는 재충전의 시간을 가짐과 동시에 낮 동안 학습했던 정보들을 정리하는 기능을 한다. 그 날 학습한 내용들을 스스로 반복해 단기기억이 장기기억으로 전환하는데 이는 대부분 꿈을 꾸는 렘수면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잠들기 전 암기과목을 공부하는 게 유리하다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만일 학업으로 인해 수면부족이 이어질 경우 장기적으로 학업능률을 더 떨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2. 아침에 늦게 일어나게 되는 이유
사춘기를 지내며 호르몬의 영향으로 인해 밤에 늦게 자고 아침에 늦게 일어나는 수면패턴이 형성된다. 수면리듬이 올빼미형으로 바뀌게 되는 ‘지연형 수면주기장애’가 찾아오는 것이다. 밤 늦게까지 깨어있는 건 힘들지 않지만 아침에는 아무리 깨워도 일어나기를 힘들어하고 오전 내내 쏟아지는 졸음 때문에 힘들어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3. 9시 등교 활용법
여유로워진 아침 시간, 이를 부족한 잠을 보충하는 데 활용할 경우 피로 개선과 학업능력 향상을 기대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잠자는 시간이 늘어났다고 한들 수면의 질이 떨어지면 아무 의미가 없다. 중요한 것은 수면의 양보다 질이기 때문이다. 잠을 줄여보겠다고 마시는 카페인이 든 음료는 밤 수면에도 영향을 줄 수 있으니 피하는 게 좋고, 수면 전 뇌를 각성시키는 TV나 스마트폰 사용도 자제해야 한다.

허정원 자미원한의원 원장은 “청소년기의 수면패턴은 성인의 그것과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잠이 많다고 해서 무조건 게으르고 의지가 없는 것으로 판단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주변의 시선 때문에 자신감과 의욕을 상실할 수 있으니 부모의 관심과 배려가 필요하다.”며 “간혹 잠을 충분히 자고도 하루 종일 졸음이 쏟아져 수업시간에 지적을 받기 일쑤라면 과다수면증은 아닌지 확인해봐야 한다. 원인은 체력 저하, 호흡기 질환,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 등 다양하므로 체력을 보강하고 원인 질환을 해소해주는 등 적극적인 치료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세계 최고의 건강보험제도 만들기
끊어질듯 허리 통증! 절개 없이 레이저시술로 ‘끝’
건강정보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속보) 서울고검, '김건희 허위경력 의혹' 재수사 ..
北, 신형 지대공미사일 2종 시험발사…한미일 순방 ..
美정부, 인텔 최대주주로…'트럼프식 압박'에 K반도..
속보) 민주당, '노란봉투법' 필리버스터 강제종결,..
내란특검, 한덕수 前총리 구속영장 초읽기…'헌정사상..
李대통령 "한일, 이웃 같아‥통상안보 국제질서 요동..
속보) 李대통령, 日동포 간담회서 '간첩조작'
특검, '노상원 수첩' 집중 추궁…'북풍 유도' 내..
속보) 전자발찌 끊고 도주한 40대 성범죄자, 하루..
절기 '처서' 무색한 폭염…주말 내내 찜통더위 속 ..
 
최신 인기뉴스
속보) 국민의힘, 당 대표 결선투표 확정…
김..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편' 방문진법, 국회 본회의 ..
EBS 이사 확대 및 추천 주체 다양화 개정안, 국..
법무부, 검찰 중간간부 인사…'여성 검사' 전면 배..
싸이 흠뻑쇼 공연장 무단 관람 경찰관, 자체 감찰 ..
속보) 위성락 주미대사, 한미 비핵화 논의에 3단계..
이재명 대통령 "위안부·징용 합의,
국가 ..
김건희, '통일교 청탁 의혹' 특검 조사 진술 거부..
"원조 국민 엄마" 박미선, 유방암 투병 사실 알려..
황정음, 회사 자금 횡령 혐의에 징역 3년 구형… ..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