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직장인들의 피곤 요인 1위에 직급별, 직군별 뚜렷한 차이가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취업 전문포털 파인드잡(대표 최인녕 www.findjob.co.kr)이 현재 직장을 다니고 있는 남녀 1,51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가장 피로감을 주는 업무요인 1위는 ‘상사나 거래처, 고객 비위 맞추기’(30.5%)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응답은 남성 24.5%, 여성 34.5%가 1위로 꼽으며 모든 직장인이 겪는 공통적인 피로 공감대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어 ‘체계가 안 잡힌 업무 프로세스’(24.2%), ‘야근 등 긴 근로시간’(19.8%)이 높은 비율로 2, 3위를 차지했으며, ‘성과에 대한 부담’(16.5%), ‘직장 내 의견 충돌’(7.7%) 등이 뒤를 이었다.
또한 직장인들의 피로 요인은 직급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여 시선을 끈다.
‘사원급’의 경우 ‘상사나 거래처, 고객 비위 맞추기’가 30.2%로 1위에 올라 말단 직장인으로서 이곳 저곳의 눈치를 보는 상황에 피로를 크게 느끼는 반면, ‘대리급’은 ‘체계가 안 잡힌 업무 프로세스’를 1위(29%)로 꼽아 실무를 수행하다 겪는 불편함을 가장 큰 피로요인으로 지적했다.
또한 직급이 높아질수록 성과에 대한 스트레스가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과장급의 경우는 ‘성과에 대한 부담’이 27.6%, 관리자급은 35.3%로 1위를 차지해, 대리(18.1%)나 사원급(13.3%)에 비해 10%p 이상 높은 수치를 보였다.
직업군별로 보면 더욱 확연한 차이가 드러난다. ‘생산·물류직’은 ‘야근 등 긴 근로시간’(34.6%)이 피로 요인 1위에 올랐고, 사람 상대가 많은 ‘서비스직’은 ‘상사나 거래처, 고객 비위 맞추기’에 42%의 표가 몰려 다른 직군과 확실한 대비를 보였다.
또 영업·마케팅은 ‘성과에 대한 부담’(36.3%), ‘연구·개발·기획직’은 ‘체계가 안 잡힌 업무 프로세스’(31.5%)등 각 직군 특성별 상이한 1위 응답이 나왔다.
이와 함께 직장인들의 피로를 배가시키는 업무 외적 요인으로는 ‘출퇴근 교통 전쟁’이 1위(32.3%)에 올라 극심한 교통 체증과 출근 지옥을 실감케 했다.
이어 ‘시도 때도 없이 보는 스마트 기기’(31.6%)가 2위에 올라 스마트폰 4000만 시대의 새로운 피로 요인으로 대두됐고, ‘집안일 이중부담’(23.1%), ‘직장 내 휴게시설 부족’(11.9%) 순으로 이어졌다.
특히 ‘집안일 이중부담’은 기혼자(46.9%)가 미혼자(17.4%)에 비해 2.7배나 높아 일과 가정 양립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
|
|
|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 |
| |
| |
|
|
|
 |
세종 국가상징구역, ‘완성형 행정수도’로…대법원·.. |
 |
역대 최대 10월 수출액 달성, 무역수지 흑자 행진.. |
 |
미-중 무역 합의 발효 임박, 한화오션 美 자회사 .. |
 |
오타니 쇼헤이, 월드시리즈 MVP 야마모토 극찬 ".. |
 |
단독) 파이온텍 ‘볼륨톡스 엑스티 울쎄락’ 출시, .. |
 |
한국-중국, 초국가 범죄 척결 위해 경찰·공안 '.. |
 |
대한민국-싱가포르, "전략적 동반자 관계" 격상.... |
 |
한중, 11년 만의 국빈 방한으로 한중 관계 새 장.. |
 |
김선규 전 공수처장 직무대행, "채상병 사건 수사 .. |
 |
비트코인, 연준 금리 인하에도 10만7000달러 급.. |
|
|
|
| |
|
|
|
|
|
|
|
|
| |
|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
|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