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ㆍ유통 오피니언 의료
 

 

중기청 “2015년 벤처투자, 사상 최고치 기록”

최영 기자 | 승인 16-01-28 21:27

유용한 뉴스를 공유해보세요.
이번 정부의 창조경제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벤처투자 분야에서 뚜렷한 성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이 19일 발표한 2015년 벤처펀드 투자동향에 따르면, ▲벤처펀드 결성액 사상 최고치 기록 및 민간 출자자 확대 ▲벤처투자액 사상 최고치 기록 ▲해산조합의 수익성 향상(투자한 기업의 가치 상승) ▲선배 벤처들의 창업투자회사 설립을 통한 재투자 활성화 등 ▲벤처투자 생태계 선순환 구조 전반에 걸쳐 모두 가시적인 성과를 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펀드 결성) ‘15년 벤처펀드 결성액은 2조 6,260억원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였으며, ‘14년 2조 5,842억원(기존 최고치) 대비 1.6% 증가했다.

* 벤처투자 및 벤처펀드 결성 규모는 중기청에 등록하는 창업투자조합 및 벤처투자조합(전체 벤처펀드의 약 80%를 차지) 기준임(신기술투자조합 제외)

‘15년 벤처펀드 출자자 중 정책성 기관(정부기관, 산업은행, 성장사다리, 지자체)을 제외한 민간 출자자 수가 352개에서 498개로 크게 증가했다.

‘15년 벤처투자 규모는 2조 858억원으로 역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였으며, 전년(‘14년, 1조 6,393억원) 대비 27.2% 증가하여 ’00년 최고치(2조 211억원)를 15년만에 갱신, 모태펀드와 공동 출자하여 해외 벤처캐피탈이 운용하는 외자유치펀드가 국내 중소기업에 투자한 금액(720억원)을 합산할 경우, 벤처투자 규모는 2조 1,578억원으로 증가했다.

해산조합의 연평균 수익률은 이번 정부 들어 7~8%의 수익률 기록하고 있어 종전 2~3% 수준에 비해 3배 정도 높은 수익률을 시현했다.

* 수익률(%) : (‘10)2.67→(’11)2.54→(‘12)4.07→(’13)8.73→(‘14)7.00→(’15)7.48

‘15년 신규 등록 창업투자회사는 총 14개로 ‘00년 이후 한해 가장 많은 창투사가 신규로 등록하였으며, 특히 14개사 중 6개사가 선배 벤처기업, 창업자가 설립한 회사로 창업과 성장, 재투자로 이어지는 선순환 고리를 형성하였으며, 외국계 벤처캐피탈도 국내 창투사를 설립(세마트랜스링크, 레드배지)했다.

주영섭 중소기업청장은 “벤처투자 사상 최고치 달성은 그간 창조경제 구현을 위해 정부가 추진해 온 중소·벤처기업 지원 정책에 힘입은 것으로, 창조경제혁신센터, TIPS 등 창업인프라가 대폭 확충되고 기술창업이 활성화되면서 투자할 기업이 많아짐과 동시에 민간·정부 모두 벤처펀드 출자가 늘면서 투자여력이 향상되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이와 같은 벤처투자 확대 분위기로 인해 향후 창업·벤처기업의 정책체감도가 지속적으로 나아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현대경제연구원 ‘국내 잠재성장률 추이 및 전망’
예스24, 서점 최초 모바일 연매출 1000억원 돌파
산업 기사목록 보기
 
인기뉴스
속보) 윤석열 전 대통령, 12∙3 비상..
딥페이크 기술 악용 로맨스 스캠, 120억 원 피해..
속보) 조국혁신당, 윤석열 전 대통령 처가 요양원 ..
속보) SK텔레콤, 별도 신청 없이 유심 보호 서비..
속보) 대법원, 이재명 공직선거법 사건 기록 서울고..
 
최신 인기뉴스
SKT, 유심 교체 100만 명 돌파, 대리점 신규..
트럼프 대통령, 외국 영화에 100% 관세 부과
정치칼럼) 대선 29일 "대한민국 turning p..
백종원, 모든 방송 활동 중단 선언…“더본코리아 성..
속보) SK텔레콤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자 2411만 ..
 
회사소개 광고안내 이용약관 개인보호취급방침 이메일수집거부 기사제보 구독신청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