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해외직접투자 가운데 對중국 비중이 10년 전 약
40%에서 최근 10% 수준으로 급감해 한국의 중국 투자 쏠림현상이 완화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한국의 국가별
해외직접투자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對중국 직접투자비중은 ’05년
39.3%까지 치솟아 한국의 중국 투자 편중 문제가 심각했으나 이후 하락 추세가 계속되어 ’15년 10.5%를 기록하면서 미국 비중 20.8%의 절반 수준에 머물렀다고
밝혔다.
對중국 직접투자 규모는 ’00년 7.7억불에서 ’15년 28.5억불로 15년
간 약 4배 증가했으나 ’14년 이후 뚜렷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내 한국의 신규법인 역시 ’06년 2,300개에서
작년 700개로 급감한 것으로 조사됐다.
일본과 미국 등 주요국 역시 對중국 직접투자가 감소세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 중국 내부로 유입되는 외국인직접투자(FDI)의 증가율이 ’14년 -7.8%, ’15년 -6.8%를 보이며 연속해서 감소했다.
일본의 對중국 직접투자는 ’12년 134억불을 정점으로
점차 줄어들어 ’15년 87억불로 감소한 반면, 일본의 對아세안 직접투자는 ’15년 202억불 규모로 중국 투자액의 두 배가 훨씬 넘었다.
미국의 對중국 직접투자는 ’08년 159억불 이후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한 사업철수 등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가 이후 회복세를 보였으나, ’15년 전년대비 4.2% 감소한 73억불로
하락세를 나타냈다.
한국의 해외직접투자 총액은 ’14~’15년 약 270억불 규모로 정체되는 가운데 對미국 직접투자 증가와 더불어 對아세안 국가들에 대한 직접투자가 꾸준한 증가세를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2015년 對아세안 직접투자액은
41.6억불 규모로 對중국 투자금액 28.5억불보다
1.5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세안 국가 중 투자규모가 가장 큰 국가는 베트남으로 우리나라의 對베트남 직접투자는 ’00년 7천만불에서 지난해 약 20배 늘어난 15억불을 기록했다.
한국의 투자 대상국별로 투자 목적을 살펴보면 對중국, 미국, 아세안 모두 지난 15년 동안 현지시장진출 목적의 투자가 10배 이상 늘어나는 공통점을 보였다.
동시에 개별대상국별로 투자 목적의 차이점도 뚜렷하게 구분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對중국은 ’00년 1.1억불의 현지시장진출 목적의
투자가 ’15년 12.5억불로 늘어난 반면, 저임활용 목적의 투자는 동기간 1.1억불에서 4천만불로 급감해 저비용 생산기지로서의 중국 투자는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對미국 직접투자는 현지시장진출 목적이 ’00년 3.6억불에서
’15년 37억불로 늘어났고, 동시에 선진기술도입을 위한 투자 역시 동기간 3.6억불에서 8.0억불로 증가했다.
對아세안 직접투자는 현지시장진출을 위한 투자가 ’00년
1.2억불에서 ’15년 15.6억불로 크게 증가했으며, 특히 저임활용 목적의 투자가 동기간 3천만불에서 5.1억불로 급증해 생산기지로서의 투자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對아세안 투자는 자원개발, 수출촉진 목적 등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한국의 對중국 투자 감소세에 대해 전경련 송원근 경제본부장은 “글로벌 경기변동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생산기지의 다변화를
통해 투자 리스크를 분산시키는 전략적 접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아세안 등 신흥국으로의 과감한 투자와 더불어 국내 투자여건을 개선해 해외 기업을
유턴시키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서울 = 전국경제인연합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