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ㆍ유통 오피니언 의료
 

 

메나페이 바리스, 한국에 대한 남다른 포부와 애정

전미경기자 | 승인 18-11-23 17:40

유용한 뉴스를 공유해보세요.

중동과 북아프리카 지역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시스템 메나페이(MenaPay)가 한국에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이번 11월 부산에서는 메나페이의 투자자인 바리스(Baris Ozistek)가 국내 최대 게임행사 2018 지스타에 참가해 한국이 가지고 있는 블록체인 산업의 잠재력과 메나페이의 한국 진출 역량에 대해 설명했다.

넷마블 EMEA 최고경영자를 맡고 있는 바리스는 터키 블록체인 재단 이사장임과 동시 메나페이의 중요한 투자자이기도하다. 그가 한국을 유난이 중요하게 바라보는 이유는 바로 아시아, 특히 한국의 신생기술 흡수력에 있는데, 그는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은 기술에 대한 수용력과 적응력이 매우 빠르다. 특히 카카오페이나 삼성페이와 같은 결제시스템은 매우 뛰어나며 신선한 충격이었다”며 “한국의 기술력이 중동과 북아프리카 즉 MENA(Middle East and North Africa) 지역에도 필수요소가 되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메나(MENA) 지역 인구의 80%는 은행 계좌가 없다. 이 문제는 빈부격차와 시장 유동성 마비 등 여러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데, 메나페이가 바로 여기에 대한 솔루션이라고 바리스는 말한다.

동시에 그는 한가지 도전점을 제시했다. 메나 지역은 이슬람 금융법의 관할하에 있어 통상적인 금융거래와는 성격이 다른 금융서비스들이 많다는 것이다. 일단 이슬람 금융시스템 아래에서는 거래 시에 최소 두 사람이 승인을 해 주어야 한다. 예를 들어 두 사람이 간단한 일방 거래를 진행한다 하더라도 또 다른 두 사람의 증인이 필요한 셈이다. 이는 거래의 속도와 효율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부작용을 나을 수 있으나, “블록체인이 접목되면 이야기가 달라진다”라고 바리스는 말한다. 블록체인 기술 자체가 모든 데이터들이 새로운 거래를 승인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이슬람 금융법을 100퍼센트 따르며 오히려 더욱 빠른 결제와 거래가 가능케 된다고 설명한다.

메나페이는 메나 지역 뿐 아니라 한국에서도 이점을 가진다. 한국에서 중동을 포함한 국제 비즈니스 기업 혹은 투자자가 모두 활용할 수 있으며, 메나페이 플랫폼 자체가 달러를 완벽이 지원하기 때문에 달러를 사용하는 거래라면 일반인도 해외 P2P 거래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특히 메나케시라 불리는 스테이블 코인은 달러와 1:1로 페어링되어 다른 암호화폐와 같은 가격 변동성의 위험이 없이 진정한 ‘화폐’역할을 감당하며, 소비자와 상인의 거래시에는 일정 확률로 메나페이 토큰이 보상으로 주어져 거래를 활성화 시킬 촉매제가 되기도 한다.

또 은행 계좌가 없는 메나 지역의 사람들은 신용 점수가 낮아 집을 마련하거나 대출, 보험 그리고 교육의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다는 빈부 격차의 문제를 안고 있다. 메나페이는 블록체인 외에도 인공지능 기능의 탑재로 사람들의 정보를 모아 상인들에게 신용정보 제공이 가능하며, 무신용 혹은 마이크로신용 서비스를 통해 의식주 해결에 도움이 되는 서비스는 물론 결혼, 교육 지원도 가능하다.

메나페이는 2019년 1월 실제 이용할 수 있는 플랫폼을 출시 할 예정이며, 메나페이의 이사진이면서 자문을 제공하는 사우디 왕가의 공주 하나디 카들러(H.H Hanadi Ahamed Khadher) 또한 직접 프로젝트의 이사진으로 참여하여 국가의 상인 네트워크, 그리고 정부의 서포트로 막강한 지원을 보여줄 계획이며,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바리스는 “메나페이는 올해 2월에 있는 크라우드세일보다 한 달 먼저 플랫폼을 출시할 예정이다. 아이디어에 멈추지 않고 실제 기술력을 먼저 선보이는 메나페이는 메나지역과 한국은 물론 여러 나라의 신뢰를 얻고자 한다”고 자신감을 보이기도 했으며, 특히 2019년에는 천만명 사용자를 유치, 연 말에는 전 세계적으로 트레이딩뿐만이 아닌 실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암호화폐가 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또한 그는 마지막으로 “한국의 모든 블록체인 팬들과 종사자들이 풍부한 자원 국가이면서 한국의 여러 기술들을 흠모하고 있는 중동의 국가들과 메나페이(MenaPay)에게도 많은 관심을 가져주었으면 좋겠다”며 우리나라를 향한 남다른 기대와 애정을 표했다.

메나페이는 현재 1월 플랫폼 출시를 앞두고 부단한 노력을 가하고 있으며, 개발중에도 프라이빗세일에서 이미 소프트캡을 넘는 등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최근 공개한 한국어 웹사이트와 가이드는 메나페이(MenaPay)의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 가능 하다.

[서울=메나페이]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LG전자, 한국전기안전공사와 상호 협력 위한 MOU 체결
LG전자, 서비스센터 협력사 3900명 정규직 전환 예정
기업 기사목록 보기
 
인기뉴스
SK텔레콤 대규모 해킹 여파, "유심 부족 사태" ..
강원 인제 산불, 20시간 만에 주불 진화…69㏊ ..
속보) 부산 60대 남성, 알뜰폰 무단 개통 피해...
프란치스코 교황 장례식, 전 세계 정상과 신자들의 ..
더본코리아 '덮죽' 허위 광고 의혹…서울 강남구청,..
 
최신 인기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 당선 시 재판 중지 ..
속보) 윤석열 전 대통령, 12∙3 비상..
속보) 법사위 서영교 의원 "대법원 이재명 사건 올..
딥페이크 기술 악용 로맨스 스캠, 120억 원 피해..
속보) 조국혁신당, 윤석열 전 대통령 처가 요양원 ..
 
회사소개 광고안내 이용약관 개인보호취급방침 이메일수집거부 기사제보 구독신청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