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삼성전자, ‘삼성 파운드리 포럼 2021’ 개최

장기문 기자 | 입력 21-10-07 23:25



삼성전자가 ‘Adding One More Dimension’을 주제로 ‘삼성 파운드리 포럼 2021’을 온라인으로 개최했다.
 
성전자는 이번 포럼을 통해 ‘GAA 기술 기반 3나노 및 2나노 공정 양산 계획’과 ‘17나노 신공정 개발’ 등을 소개하고, 공정 기술·라인 운영·파운드리 서비스를 한 차원 더 발전시켜, 빠르게 성장하는 파운드리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 최시영 사장은 기조연설에서 “대규모 투자를 통해 생산 역량을 확대하고, GAA 등 첨단 미세공정뿐만 아니라 기존 공정에서도 차별화된 기술 혁신을 이어갈 것”이라며 “코로나19로 인해 급격한 디지털 전환이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고객들의 다양한 아이디어가 칩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삼성 파운드리 포럼 2021은 역대 파운드리 포럼 중 가장 많은 500개사, 2000명 이상의 팹리스 고객과 파트너가 사전 등록하며 높은 관심을 끌었다.
 
◇GAA 기술 양산 준비 중, 파운드리 미세공정 시장 주도
 
GAA 기술은 전력효율, 성능, 설계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 공정 미세화를 지속하는 데 필수적이다.
 
삼성전자는 2022년 상반기 GAA 기술을 3나노에 도입하고, 2023년에는 3나노 2세대, 2025년에는 GAA 기반 2나노 공정 양산 계획을 밝히며 차세대 트랜지스터 기술 선점에 대한 자신감을 나타냈다.
 
특히 삼성전자의 독자적인 GAA 기술인 MBCFET™ (Multi Bridge Channel FET) 구조를 적용한 3나노 공정은 핀펫 기반 5나노 공정 대비 성능은 30% 향상되며 전력 소모는 50%, 면적은 3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삼성전자는 3나노 공정의 경우 안정적인 생산 수율을 확보하며, 양산을 위한 준비가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17나노 핀펫 신공정 개발, 응용처 확대 계획도 소개
 
삼성전자는 비용적인 측면에서의 효율성과 응용 분야별 경쟁력을 갖춘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 핀펫 기술을 지속해서 개선하고 있으며, 이번 포럼을 통해 핀펫 기반 17나노 신공정을 발표했다.
 
17나노 공정은 28나노 공정 대비 성능은 39%, 전력효율은 49% 향상되며 면적은 43%가 감소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평면 트랜지스터 기반의 28나노 이상 공정을 주로 활용하는 이미지센서, 모바일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 등의 제품에도 17나노 신공정을 적용할 수 있어 다양한 응용처로의 확대 가능성도 선보였다.
 
또한 삼성전자는 기존 14나노 공정을 3.3V 고전압, eMRAM 지원 등 MCU (Micro Controller Unit)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을 개발해 IoT와 웨어러블 기기 등 핀펫 공정의 응용처 다변화를 지원하며, 8나노 RF (Radio Frequency) 플랫폼의 경우 5G 반도체 시장에서 6GHz 이하 mmWave 제품에서의 리더십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삼성전자는 파운드리 고객과 파트너사의 생태계 강화를 위한 세이프 포럼(SAFE, Samsung Advanced Foundry Ecosystem)을 11월 온라인으로 개최할 예정이다.

[서울 : 삼성전자]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닐슨미디어, ‘디지털 마케팅 퍼포먼스 극대화’ 위한 디지털 웨비나 개최
번개장터 포장택배, 보름 안에 10명 중 8명 다시 찾는다 “요즘 중고거래 문 앞 픽업 거래가 대세”
기업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권성동 의원, 통일교 불법자금 의혹 첫 재판…윤영호..
김동연 경기지사 “한미 협상은 대성공…오세훈 시장 ..
서울 포함 전국 첫 한파주의보…아침 기온 0도 안팎
속보) 이재명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율 53.0% 기..
민주당, '법원행정처 폐지' 등 사법개혁 논의할 '..
정부, '위헌적 지시 거부' 역량 강화 위해 전 공..
비트코인, 연준 금리 인하에도 10만7000달러 급..
"서울 집값 상승 책임론", 오세훈-조국 "소비쿠폰..
경기도교육청 372억 "고3 사회진출 예산", 연말..
대한민국-싱가포르, "전략적 동반자 관계" 격상....
 
최신 인기뉴스
속보) 코스피, 사상 최고치 경신 하루 만에 하락 ..
김선영 YTN 앵커, 별세한 백성문 변호사 추모 <..
미-중 무역 합의 발효 임박, 한화오션 美 자회사 ..
역대 최대 10월 수출액 달성, 무역수지 흑자 행진..
APEC 2025 경주 정상회의 만찬 리셉션, K-..
최민희 "국감 중 눈물의 사과"... 국민의힘 "권..
지드래곤의 무대, 차은우의 진행…APEC 만찬 ‘한..
"문 부수고 끌어내라" 곽종근 증언... 윤석열 전..
백종원 대표 국정감사 불출석... "해외 출장, 부..
'내란' 특검, 황교안 전 총리 압수수색 2차 시도..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