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전문직업일수록 코로나19로 인한 업무방식 변화 느껴”

김미영 기자 | 입력 22-09-15 23:57



인문·사회과학·예술 분야 종사자를 상대로 코로나19로 인한 직업 내 업무방식의 변화 정도(재택근무나 온라인으로의 전환에 대한 변화 정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는 직군은 주로 전문가 집단인 반면, 기능원 직군은 업무 변화 인식과 일자리 수에 대한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원장 류장수)은 9월 15일(목) ‘The HRD Review 2022년 9월호 조사·통계브리프(‘포스트 코로나와 업무의 변화: 인문, 사회과학, 예술 분야를 중심으로’)’를 통해 코로나19로 인한 직업별 업무방식의 변화를 발표했다.

* 이 조사는 2021년 인문·사회과학·예술분야(경영, 행정 및 법 포함) 직업 110개 종사자 3450명을 대상으로 7점 척도를 사용해 분석.

주요 분석 결과(붙임 참조)는 다음과 같다.

코로나19로 인한 직업 내 업무방식의 변화는 세부 직업별로 다음과 같이 조사됐다.

‘대학교수’(5.94점), ‘번역가 및 통역사’(5.90점), ‘대학 시간강사’(5.84점), ‘만화가 및 만화영화 작가’(5.74점) 등이 업무방식의 변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음식 서비스 관련 관리자’(2.88점), ‘보건 의료 관련 관리자’(3.42점), ‘수금원 및 신용 추심원’(3.42점), ‘촬영기사’(3.61점) 등은 업무방식의 변화 정도가 낮았다.

코로나19로 인한 업무방식의 변화가 업무의 효율성에 미친 영향력은 세부 직업별로 다음과 같다.

‘패션 디자이너’(5.81점), ‘대학교수’(5.65점), ‘변호사’(5.61점), ‘공연 영화 및 음반 기획자’(5.58점), ‘관세사’(5.56점), ‘만화가 및 만화영화 작가’(5.52점) 등은 코로나19로 인한 업무방식의 변화가 업무의 효율성에 미친 영향력이 컸다.

반면 ‘중고등학교 교사’(3.52점), ‘출납 창구 사무원’(3.68점), ‘안내 접수원 및 전화교환원’(3.71점), ‘촬영기사’(3.81점), ‘귀금속 및 보석 세공원’(3.81점), ‘환경 청소 및 경비 관련 관리자’(3.91점) 등은 코로나19로 인한 업무방식의 변화가 업무의 효율성에 별 영향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인한 업무방식의 변화로 일자리 수가 증가한 직업은 다음과 같이 조사됐다.

‘투자 및 신용 분석가’(5.68점), ‘패션 디자이너’(5.65점), ‘대학교수’(5.52점), ‘번역가 및 통역가’(5.39점), ‘변호사’(5.29점), ‘만화가 및 만화영화 작가’(5.29점) 등은 업무방식의 변화로 일자리 수 증가에 큰 영향력을 미쳤다.

코로나19로 인한 업무방식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교육훈련의 필요성이 높은 직업은 다음과 같이 조사됐다.

‘대학교수’(5.90점), ‘투자 및 신용 분석가’(5.58점), ‘공연 영화 및 음반 기획자’(5.58점), ‘변호사’(5.55점), ‘영상 녹화 및 편집 기사’(5.53점), ‘판사 및 검사’(5.52점) 등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그룹이 교육훈련의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실패해도 괜찮은, 청소년 셀러들의 도전 청소년아티스트장 ‘절대 지켜’ 개최
서울문화재단, 사운드 아트 쇼케이스 ‘사운즈 온 2022’ 개최
사회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칼럼) 65세까지 일해야 하는 시대가 다가오고 있..
추경호 영장 발부되면 국힘 치명타…권성동과는 차원 ..
北, 내년 3월 대규모 열병식 개최 검토…트럼프 대..
민주당, 정년 65세 연내 입법 추진…“소득 공백 ..
이재명 정부, 728조 원 ‘AI 시대 첫 예산’ ..
이재명 대통령, 국회 입장하며 빈 국힘석 향해
세종 국가상징구역, ‘완성형 행정수도’로…대법원·..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새벽 배송 금지' 사회적..
속보) '양평 공흥지구 의혹' 김건희 씨 모친 최은..
APEC 훈풍에 경제심리 ‘껑충’…4년 3개월 만에..
 
최신 인기뉴스
세종 국가상징구역, ‘완성형 행정수도’로…대법원·..
미-중 무역 합의 발효 임박, 한화오션 美 자회사 ..
역대 최대 10월 수출액 달성, 무역수지 흑자 행진..
오타니 쇼헤이, 월드시리즈 MVP 야마모토 극찬 "..
한국-중국, 초국가 범죄 척결 위해 경찰·공안 '..
한중, 11년 만의 국빈 방한으로 한중 관계 새 장..
김선규 전 공수처장 직무대행, "채상병 사건 수사 ..
경기도교육청 372억 "고3 사회진출 예산", 연말..
더불어민주당, '재판중지법' 당론 추진 본격화 선언..
비트코인, 연준 금리 인하에도 10만7000달러 급..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