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과 경찰의 수사로 창사 이래 최대 위기를 맞은 하이브에 또 다른 사정의 칼날이 겨눠졌다. 국세청이 29일 하이브 본사에 대한 특별 세무조사에 전격 착수했다. 이번 조사는 일반적인 정기 세무조사가 아닌, 탈세 혐의 등을 심층적으로 파헤치는 비정기 조사이며, 재계의 '저승사자'로 불리는 서울지방국세청 조사4국이 투입돼 그 배경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세무 당국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세청은 이날 오전 서울 용산구에 위치한 하이브 사옥에 조사관들을 보내 회계 관련 자료 확보에 나섰다. 이번 조사는 서울지방국세청 조사4국이 주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사4국은 대기업의 비자금 조성이나 오너 일가의 편법 증여, 역외 탈세 등 굵직한 탈세 혐의를 전담하는 조직으로, 조사4국이 착수했다는 사실만으로도 국세청이 하이브의 자금 흐름과 관련해 구체적이고 심각한 혐의를 포착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국세청의 이번 조치는 최근 경찰과 검찰이 수사 중인 방시혁 의장의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와 무관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 현재 방 의장은 2019년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기존 투자자들을 속여 하이브 임원들이 설립한 특수목적법인(SPC)에 지분을 헐값에 팔게 한 혐의(자본시장법 위반)로 수사를 받고 있다. 특검은 이 과정에서 발생한 부당 이익의 흐름과 세금 탈루 여부를 집중적으로 들여다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이번 세무조사는 국세청이 이날 발표한 '주식시장 불공정 탈세 기업' 27곳에 대한 기획 세무조사의 일환일 가능성이 높다. 국세청은 주가조작이나 허위 공시 등의 수법으로 소액주주들에게 피해를 주고 부당이득을 챙긴 기업들을 상대로 강도 높은 조사를 예고한 바 있다. 하이브가 해당 기업 명단에 포함되었는지에 대해 국세청은 "개별 세무조사 내용은 확인해 줄 수 없다"는 입장이지만, 조사 시점과 정황상 연관성이 매우 높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하이브는 지난 2022년 6월, 설립 이후 첫 정기 세무조사를 받은 바 있다. 불과 3년 만에, 그것도 재계의 중수부 격인 조사4국으로부터 특별 세무조사를 받게 되면서 그룹 전체가 다시 한번 거센 소용돌이에 휩싸이게 됐다. 잇따른 사법 리스크에 이어 세무 리스크까지 터져 나오면서 하이브의 경영 불확실성은 한층 더 커질 전망이다. 하이브 측은 이번 세무조사와 관련해 아직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