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터가 적고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 덕분에 암 수술 등 중증 질환 치료의 대세로 자리 잡고 있는 로봇수술이 최대 2,500만 원에 달하는 비싼 비급여 비용 때문에 환자들의 그림자가 되고 있다. 환자와 의사 모두의 선호도 속에 로봇수술 비중은 매년 가파르게 늘고 있지만,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수술을 망설이거나 포기하는 사례가 속출하면서 '의료 양극화'를 심화시킨다는 지적이 나온다.
상급종합병원들을 중심으로 로봇수술은 더 이상 특별한 선택지가 아닌 표준 치료 과정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최소한의 절개로 출혈과 합병증 위험을 줄이고, 정교한 수술이 가능해 환자의 만족도가 높다. 의사들 역시 기존 복강경 수술에 비해 근골격계 부담과 피로도가 훨씬 덜해 로봇수술을 선호한다. 박민구 고대안암병원 비뇨의학과 교수는 "전립선암 수술의 경우 개복 대비 출혈·수혈·입원 기간·전체 합병증 감소가 일관되게 보고되고 있다"며 로봇수술의 임상적 우수성을 설명했다.
문제는 비용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로봇수술 비용은 병원과 질환의 난이도에 따라 최저 1,000만 원에서 최고 2,500만 원에 달한다. 모든 비용을 환자가 전액 부담해야 하는 비급여 항목이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치료 효과가 기대됨에도 불구하고 경제적 부담 때문에 수술을 망설이는 환자들이 늘고 있다.
로봇수술의 건강보험 적용, 즉 '급여화'는 의료계의 뜨거운 감자다. 환자들은 당연히 급여화를 통해 비용 부담을 덜고 싶어 한다. 막대한 실손보험금 지급이 부담스러운 민간 보험사들도 급여화를 바라는 입장이다. 하지만 병원에게 로봇수술은 중요한 수익원이어서 급여화에 따른 수가 인하를 반기지 않는다. 정부 역시 한정된 건강보험 재정을 고려해야 하는 만큼 결정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급여화를 위해서는 객관적인 데이터 축적이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박 교수는 "로봇수술 관련 표준 데이터들을 축적해 안전성과 비용, 효과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해야 적정 수가 등을 정할 수 있는데, 현재는 이런 준비가 많이 이뤄지지 않은 상태"라고 말했다. 일본, 영국, 대만 등 해외 주요국들이 암 수술을 중심으로 로봇수술 급여화를 확대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기술의 발전이 의료비 부담으로 이어져 치료의 불평등을 낳지 않도록, 사회적 논의를 통한 합리적인 정책 마련이 시급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