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한미 협상 새 변수 "비자 문제", 김민석 "비자 해결 안 되면 대미 투자 불가능"

강민석 기자 | 입력 25-09-25 10:27



한미 관세 후속 협상이 '통화스와프'라는 암초에 부딪혀 표류하는 가운데, 우리 정부가 "비자 문제"라는 또 다른 강력한 카드를 꺼내 들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25일 공개된 외신 인터뷰를 통해 미국 내 한국인 근로자들의 비자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대규모 투자 약속 이행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공개적으로 천명했다. 이는 통화스와프에 이어 비자 문제를 협상 테이블 전면에 내세워 미국의 양보를 압박하려는 다각적인 전략으로 풀이된다.

김 총리는 블룸버그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3천5백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프로젝트와 관련해 "비자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의미 있는 진전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단언했다. 그는 "프로젝트가 완전히 중단되거나 공식적으로 보류된 것은 아니지만, 이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많은 근로자가 미국에 입국하거나 재입국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최근 조지아주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발생한 우리 근로자 대규모 구금 사태 이후, 불안감을 느끼는 기술 인력과 기업들의 입장을 대변하며 미국 측의 실질적인 조치를 촉구한 것이다.

김 총리의 이번 발언은 이재명 대통령이 유엔총회에서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을 만나 통화스와프의 필요성을 직접 역설한 직후에 나왔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대통령이 거시 경제 안정을 위한 '금융 안전핀'을 요구했다면, 총리는 투자 실행의 전제 조건인 '인력의 안정적 이동' 문제를 제기하며 투트랙으로 미국을 압박하는 모양새다. 정부는 미국의 과도한 현금 투자 요구가 우리 외환시장에 미칠 충격을 방어하기 위해 통화스와프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김 총리 역시 인터뷰에서 "미국과의 투자 약속은 한국 외환보유액의 70%가 넘는 규모로, 한미 통화스와프 협정이 없다면 한국 경제에 큰 충격이 될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정부가 이처럼 연일 강경한 메시지를 발신하는 것은 협상의 주도권을 잃지 않겠다는 의지의 표명으로 해석된다. 미국은 자동차 관세 인하의 대가로 대규모 현금 투자를 요구하고 있지만, 우리 정부는 그로 인해 파생될 수 있는 외환시장 불안과 우리 국민의 신변 불안 문제를 동시에 해결해야 한다는 논리로 맞서고 있다. 즉, 미국의 요구를 수용하기 위한 전제 조건으로 '금융 안정'과 '인적 안정'이라는 두 가지 안전장치를 명확히 요구하고 나선 것이다.

결국 한미 관세 협상의 공은 다시 미국으로 넘어갔다. 우리 정부가 통화스와프 체결과 비자 문제 해결이라는 구체적인 요구사항을 명확히 한 만큼, 이에 대한 미국 정부의 전향적인 태도 변화 없이는 협상의 실질적인 진전은 어려울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우리 정부의 요구가 미국의 국내 정치 상황과 맞물려 쉽게 받아들여지기 어려울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도 제기된다. 그러나 우리 경제의 명운이 걸린 중대한 협상인 만큼, 정부는 국익을 최우선으로 원칙에 입각한 협상을 이어나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음기사글이 없습니다.
한미 관세협상, "통화스와프" 정면으로 띄운 이재명 대통령
정치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속보) 금융당국 개편 "없던 일로"…당정대, 금융위..
한미 협상 새 변수 "비자 문제", 김민석 "비자 ..
한미 관세협상, "통화스와프" 정면으로 띄운 이재명..
속보)코스피 0.38% 내린 3,458.98 개장,..
이재명 대통령, 유엔서 "내란 극복한 대한민국 돌아..
"휴가 나온 아들 보러 가던 길"…만취 역주행 참극..
호텔신라, "국가 행사"로 결혼식 취소 고객에 예식..
'수인번호 4398' 김건희, 첫 재판 모습 공개
속보) 'DJ 차남' 김홍업 김대중평화센터 이사장 ..
검찰, 류희림 전 방심위원장 자택 등 압수수색
 
최신 인기뉴스
'대선 개입 의혹' 조희대 청문회 의결…'세종' 발..
"MLS 첫 해트트릭" 손흥민 맹활약, LAFC 서..
'11월 국가행사'에 날아간 결혼식…신라호텔, AP..
"이상과 현실의 간극"...번아웃에 내몰린 직장인들..
'항명' 아닌 '헌법수호'…국방부, 박정훈·조성현..
검찰개혁 청문회서 현직 검사 태도 논란
단독) 첫방부터 터진 '우리들의 발라드', 시청률 ..
새마을금고, 또 '채용 비리' 의혹… 자회사 임원 ..
코스피, 외국인 귀환에 3480선 돌파… 사상 최고..
'3800억 신화' 전설의 트레이더 AOA, 침묵 ..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