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이 인사 기능의 대대적인 재편을 단행하며 국정 운영 동력 확보에 나섰다. 이재명 대통령은 28일, 신설된 인사수석비서관에 조성주 전 한국법령정보원장을 공식 임명하고, 수석실 산하의 핵심 보직인 균형인사제도비서관에는 채수경 행정안전부 국장을 발탁했다. 이번 인선은 정부 출범 이후 제기된 인사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고, "공정하고 균형 잡힌 인재 등용"이라는 국정 철학을 본격적으로 구현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새롭게 출범한 인사수석실은 과거 정부에서 운영되었으나 현 정부 초기에는 비대하다는 이유로 폐지되었던 조직이다. 그러나 일부 고위공직자 후보자의 자질 논란과 검증 부실 문제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체계적이고 독립적인 인사 검증 시스템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대통령실은 이러한 여론을 수용해 지난 9일 인사수석실 신설을 예고했으며, 약 3주간의 준비 기간을 거쳐 이날 공식적인 조직 구성을 완료했다. 초대 인사수석으로 임명된 조성주 수석은 인사혁신처 차장 등을 역임한 인사행정 전문가로, 객관적인 시스템에 기반한 인사 원칙을 확립할 적임자로 평가받는다.
인사수석실의 핵심 비서관으로 임명된 채수경 신임 비서관의 이력은 이번 조직 개편의 방향성을 명확히 보여준다. 행정고시 43회 출신인 채 비서관은 행정안전부 최초의 여성 자치행정과장, 세종시 최초의 여성 기획조정실장 등 "최초"라는 수식어를 여러 차례 달며 유리 천장을 깨뜨려 온 인물이다. 특정 지역이나 성별에 치우치지 않는 인사를 통해 국정 운영의 포용성을 높이는 균형인사제도비서관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경험과 상징성을 두루 갖췄다는 분석이 나온다. 최근까지 국정기획위원회 전문위원으로 활동하며 새 정부의 국정 철학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갖춘 점도 발탁 배경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번 대통령실의 조직 개편과 인사는 단순히 시스템을 복원하는 차원을 넘어, 국정 운영의 기조 변화를 예고하는 신호탄으로 해석된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인사가 만사라는 말처럼, 공정하고 투명한 인사 시스템은 국정 신뢰의 기반"이라며, "조성주 수석과 채수경 비서관이 전문성과 균형 감각을 바탕으로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인사 정책을 펼쳐나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신설된 인사수석실이 향후 공직 사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능력 위주의 인재 발탁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