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한 긍정 평가가 54%로 나타나, 과반의 안정적인 지지세를 유지하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다만 직전 조사 대비 소폭 하락했으며, 국정 운영의 핵심 분야인 '경제'와 '외교' 정책을 두고 긍정 평가와 부정 평가 이유로 동시에 가장 많이 언급돼, 현안을 바라보는 국민의 시각이 첨예하게 양분된 것으로 분석된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갤럽이 지난 14일부터 16일까지 사흘간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 대통령의 직무 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는 54%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주보다 1%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부정 평가는 35%였으며, 10%는 의견을 유보했다. 이번 조사는 최근 중국인 무비자 입국 허용, 캄보디아 내 한국인 구금 사태, 10·15 주택 시장 안정화 대책 발표 등 다양한 국내외 이슈가 발생한 직후 이뤄졌다.
이념 성향과 지지 정당별로 평가가 극명하게 갈리는 현상은 이번에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에서는 93%가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진보층에서도 86%의 높은 지지율을 보였다. 이는 현 정부의 국정 운영 기조에 대한 핵심 지지층의 견고한 신뢰를 재확인한 결과로 풀이된다.
이번 조사의 가장 큰 특징은 긍정·부정 평가의 이유가 특정 현안에 집중됐다는 점이다. 긍정 평가 이유로는 '경제·민생'(16%)이 첫손에 꼽혔고, '외교'(15%)가 바로 뒤를 이었다. '전반적으로 잘한다'(8%), '소통·직무능력·유능함'(각 7%) 등도 순위에 올랐다. 반면, 부정 평가 이유로는 '외교'(18%)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친중정책·중국인 무비자 입국'(8%), '경제·민생'(7%), '독재·독단'(7%) 등이 문제로 지적됐다.
이처럼 경제와 외교가 긍정, 부정 평가 이유 양쪽에서 최상위권을 차지한 것은 해당 분야의 정책 성과를 두고 국민 여론이 얼마나 첨예하게 대립하는지를 보여준다. 정부의 정책을 지지하는 쪽에서는 민생 안정과 국익 중심의 외교를 성과로 보는 반면, 비판하는 쪽에서는 같은 사안을 두고 민생 파탄과 굴욕 외교라며 상반된 평가를 내놓고 있는 것이다.
한편, 정당 지지율은 더불어민주당이 지난주보다 1%포인트 상승한 39%, 국민의힘은 1%포인트 오른 25%를 각각 기록했다. 내년 6월로 예정된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관련해서는 '현 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여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는 응답이 39%, '현 정부를 견제하기 위해 야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는 응답은 36%로 나타나 여론이 팽팽하게 맞섰다.
이번 조사는 이동통신 3사가 제공한 가상번호를 이용한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12.1%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