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방울그룹이 대북 브로커 안부수 전 아태평화교류협회 회장에게 진술 번복 대가로 금품을 건넸다는 정황이 포착돼 검찰이 관련 계열사를 압수수색했다. 안 전 회장은 과거 쌍방울의 대북 송금이 “주가 상승 목적이었다”고 진술했다가 이후 “이재명 당시 경기도지사의 방북비용이었다”고 말을 바꾼 인물이다.
서울고검 인권침해 점검 태스크포스(TF)는 6일 서울 용산구 서빙고동에 위치한 쌍방울그룹 계열사 비비안 본사를 압수수색했다. 압수수색 영장에는 김성태 전 쌍방울그룹 회장과 그룹 관계자들의 횡령 및 배임 혐의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쌍방울 측이 2023년 3월 안 전 회장에게 진술 변경의 대가로 오피스텔 등 금품을 제공한 정황을 확보하고, 해당 시기 거래 내역과 내부 문서를 집중적으로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안부수 전 회장은 경기도와 쌍방울그룹을 북한 고위 인사들과 연결한 핵심 대북 창구 역할을 해온 인물이다. 그는 김성태 전 회장 등과 공모해 북한 측에 5억 원의 로비 자금을 전달한 혐의로 2심에서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받았다.
안 전 회장은 2022년 11월 구속 당시 수원지검 조사에서 “쌍방울이 북한에 건넨 800만 달러는 주가 부양 목적이었다”고 진술했으나, 2023년 4월부터 “이재명 당시 경기지사의 방북비용이었다”고 입장을 번복했다. 재판정에서는 “몸이 좋지 않아 제대로 말하지 못했다”며 “이제라도 진실을 밝히고 싶다”고 주장했다.
검찰은 안 전 회장의 진술이 바뀐 시점과 쌍방울 측 금품 제공 정황이 맞물린다고 보고, 대가성 거래 여부를 집중적으로 수사하고 있다.
앞서 법무부는 수원지검 1313호 검사실 내 ‘영상녹화실’과 ‘창고’ 공간에서 이화영 전 경기부지사, 김성태 전 회장, 안부수 전 회장이 수차례 함께 있었던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당시 일부 관계자들은 해당 공간을 ‘진술 세미나실’이라 불렀던 것으로 알려져, 수사·진술 과정에서 외부 개입이 있었던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한편 김성태 전 회장과 안부수 전 회장은 진술 번복 대가 금품 제공 의혹에 대해 “사실무근”이라며 전면 부인했다. 김 전 회장은 “배임 혐의로 입건된 것은 사실이나, 금품 제공이나 진술 조작은 전혀 없었다”고 주장했다.
검찰은 확보한 압수물 분석을 통해 자금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한편, 필요할 경우 김 전 회장과 안 전 회장을 다시 불러 조사할 방침이다. 이번 수사는 쌍방울 대북송금 사건의 진술 신빙성을 가늠할 핵심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