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ㆍ유통 오피니언 의료
 

 

무심코 버린 하드 디스크가 개인정보 유출 범인

최영기자 | 승인 14-02-18 22:56

유용한 뉴스를 공유해보세요.


최근 금융권의 정보유출 사고가 내부직원 및 외부개발자의 의도적 정보유출이 원인인 것으로 밝혀지면서, 그 동안 네트워크 보안과 암호화 위주의 정보보안에 집중됐던 관심이 인적보안, 운영보안 및 물리적 보안으로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초기 정보보호 시스템의 도입은 대부분 해킹 및 보안사고가 시스템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이뤄진다는 특성에서 출발하였다. 하지만 금번 사고와 같이 USB라는 비교적 소용량의 저장매체로도 파급 여파가 매우 큰 점을 감안하면 통상적으로 데이터 저장매체로 사용되는 HDD등의 대용량 저장매체에 대한 관리 및 폐기도 매우 중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저장매체의 폐기와 관련한 기준으로는 국가정보원의 정보시스템 저장매체 불용처리지침이 있으며 이를 근간으로 저장매체의 공개자료, 민감 자료 및 비밀자료 삭제 시 소각, 파쇄, 용해와 동일 등급의 소자(Degausser)장비 사용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디가우저(Degausser) 장비는 대형 사이즈로 인해 운반 및 사용자 편의성 등이 불편하고 구매 시 고비용이 발생하므로 사용에 어려움이 많았다  

디가우저(하드디스크 데이터 영구삭제장비) 제조, 판매 전문 업체인 코엠아이티에서는 국가정보원으로부터 보안 적합성 검증 절차를 통과한 신형 디가우저 KD-2(무게 38Kg)와 수동 전용 모델인 KD-3(무게 30Kg)를 새롭게 선보였다.

이 두 모델은 기존 디가우저 대형 모델의 단점인 무게를 대폭 줄여 이동형 캐리어를 이용해 이동할 수 있도록 편리성도 보강하였다. 또한 영구자석방식 디가우저 중 세계 최초 세로방식 설계로 별도의 작업공간을 확보하지 않아도 된다.

기존 대형 모델 및 타사제품 대비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되는 신형 디가우저 ‘KD-2, KD-3’는 국립대학, 의과대학, 군부대, 국립병원 등에서 보안적합성 검증 이전에 도입해 사용할 만큼 인기를 모으고 있다.

㈜코엠아이티(www.degausser.kr)의 우연오 대표는 지금까지 정보보안에 관련한 투자가 네트워크와 암호화 중심으로 편중되어 있는 것을 우려한다. PC 하드 디스크 및 외장형 저장 장치 등에 저장된 개인정보나 기타 민감한 내용 등의 관리와 폐기에도 충분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자세한 사항은 코엠아이티 제품 홈페이지(www.degausser.kr)를 참조하거나, 전화(02-2202-3573)로 문의하면 된다.

국정원 보안적합성 검증 통과 내용은 국가정보원사이트 국가사이버안전센터 보안적합성검증 - 검증필제품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미디어일보 최영 기자 cynagne@naver.com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판도라TV, 클릭 한번으로 롤마스터즈 HD 시청
체험, 웹툰, 소셜커머스 합친 융합형 체험마케팅 사이트 ‘버즈몬’ 오픈
 기사목록 보기
 
인기뉴스
속보) 노종면 의원 "민주당 선대위 대변인" 지귀연..
속보) 트럼프 "중국과의 합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5월 가정의 달 "가족" 함께 만드는 행복한 세종시..
10대 공약 쏟아낸 대선 후보들…'조 단위' 예산 ..
부실 지정된 MG손보, 가교 보험사 방식으로 청산 ..
 
최신 인기뉴스
5월 가정의 달 "가족" 함께 만드는 행복한 세종시..
정치칼럼) 이재명 정부 keyword "국민주권정부..
속보) 서울~양평 고속도로 노선 변경 특혜 의혹…경..
속보) 서울서부지법 폭동 사건 관련 피고인 4명에 ..
속보) 대법원 “지귀연 부장판사 의혹”, 윤리감사관..
 
회사소개 광고안내 이용약관 개인보호취급방침 이메일수집거부 기사제보 구독신청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