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잡코리아 조사, 직장인 체감 퇴직연령 ‘50.9세’

최종호 기자 | 입력 16-06-05 19:38

남녀 직장인이 예상하는 본인의 퇴직 연령은 50.9세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 조사 당시 52.1세 보다 1.2세 정도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 직장인, 대기업 근무, IT. 디자인직에 종사하고 있는 직장인들이 체감하고 있는 자신의 퇴직연령이 낮았다.

이는 취업포털 잡코리아(대표이사 윤병준)가 최근 남녀 직장인 1,405명을 대상으로 ‘체감 퇴직연령’에 대해 조사를 실시한 결과 밝혀진 사실이다.

설문에 참여한 남녀 직장인들에게 ‘현실적인 상황을 고려했을 때 몇 세까지 회사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는가’ 개방형으로 질문했다. 그리고 이를 응답자의 성별, 직급별, 근무기업 형태별, 직무별로 교차 분석해 봤다.

이번 잡코리아 조사에 따르면, 여성 직장인들보다 남성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퇴직 연령이 다소 길었다. ▲남성들은 51.7세, ▲여성들은 49.9세 즈음에 회사생활을 그만둘 것 같다고 예상한 것.

직장인이 체감하는 본인의 퇴직 시기를 근무하고 있는 기업형태별로 분석해 보면, ▲공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들이 체감하고 있는 퇴직연령이 평균 54.8세로 가장 높았으며, ▲중소기업 50.8세 ▲대기업 48.8세로 대기업 직장인들의 체감 퇴직연령이 가장 낮았다.

직급별로는 회사의 중간관리자 역할을 맡고 있는 경우가 많은 대리.과장.차장급들이 예상하는 퇴직 시기가 타 직급에 비해 빨랐다. ▲사원급 51.7세 ▲대리급 49.3세 ▲과장급 50.2세 ▲차장급 50.1세 ▲부장급 51.4세 ▲이사(임원)급 51.3세를 본인의 퇴직 시기로 예상했다.

그렇다면 현재 담당하고 있는 직무별로는 어떨까? 잡코리아 집계 결과, ▲서비스직 분야에서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들은 자신의 퇴직 연령을 평균 53.1세로 진단해 퇴직 시기가 타 직무에 비해 가장 늦었다. 다음으로 ▲생산/기술직 52.8세 ▲영업/영업관리직 51.0세 ▲재무/회계직 50.2세 ▲인사.총무직 49.7세 ▲마케팅.홍보직 49.4세 ▲기획직 48.6세 ▲IT/정보통신직과 ▲디자인직이 각각 47.0세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최근 국내 전반적으로 기업경영 상황이 좋지 않음을 피부로 느끼고 있어서인지 설문에 참여한 직장인들 중 66.0%는 현재의 고용상태에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7.8%로 소수에 불과했다.

또한 정년 때까지 자신이 고용안정성을 보장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직장인들도 18.6%로 10명 중 2명에도 못 미쳤으며, 73.0%는 어느 정도 정년이 보장되는 공무원 등으로 직업 전환을 생각해 본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직장인 10명 중 9명, “회사 몰래 이직 준비해”
국제문화예술진흥회, 예순절 단체 행사로 진행
사회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속보) 내란특검, 한덕수 전 총리 불구속기소…'비상..
속보) 김건희특검, '집사 게이트' 핵심 인물 김예..
대통령실 "정치적 중립 의무 위반" 이진숙 방통위원..
단독) 만성 요통 방치하면 "척추 디스크 내장증",..
특검 "오늘 김건희 구속 기소…범죄수익 10억3천만..
728조 원 규모 내년 정부 예산안, 국무회의 통과
속보) 이 대통령, '노란봉투법'에 "노동계도 상생..
중부ㆍ호남, 소나기 소식 속 습도와 더위 계속…곳곳..
속보) 코스피, 12.48포인트(▲0.39%) 오른..
채상병 특검, '표적 수사' 의혹 국방부 검찰단 압..
 
최신 인기뉴스
단독)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회의
"대전시당"..
이커머스 전문 기업 "셀업 유니온" 가성비 좋은 자..
속보) 한은 총재 "이론적으로 기준금리 1%p 인하..
김건희와 언론의 '악연'…'여사' 호칭 생략부터 '..
특검 출석한 권성동 "결백하다"…'중식당 회동' 질..
속보) 레미콘 공장 '질식사고'…고용부·경찰, 순..
속보) 한덕수 전 총리, 4시간 구속 심사 종료…서..
속보) 권성동, 특검 출석…"결백하다, 없는 죄 못..
속보)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권성동, 구속영장 청구..
헌정사상 첫 전직 총리 구속심사…한덕수, 혐의 부인..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