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신혼처럼 달콤한 도시 농부’를 엿 보다!

도목현기자 | 입력 17-06-07 09:34

유용한 뉴스를 공유해보세요.

올해 너무 가뭄이 들어 마늘 농사가 좋지 않지만, 작은 텃밭에서 키워가는 재미로 생활에 큰 활력소가 됩니다


참 도시 농부를 꿈꾸며 옥길동의 주말농장에서 채소와 마늘밭을 가꾸고 있는 안재용 씨의 말이다.

 

 

 

 

옥길동 농장에는 안 씨와 같은 시민들의 활력 있는 여가생활을 위한 주말농장을 비롯한 볍씨 학교도시 농부학교가 함께 공동체적 관계를 유지하며 행복한 여가 생활을 만들고 있다.

 

 

4일 오전 10, 두길리 삼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주말농장(광명텃밭보급소)에는 도시농부들과 농부 학교초보 농부(학생들)들이 모여 선생님의 세심한 지도로 첫 모내기를 시작했다.

 


 


 

특히, 모내기 행사 중 잠시 쉬는 동안에 먹는 음식인 새참(육체노동이 심한 노동자나 농번기의 농부들은 하루 3끼의 식사 외 한두 번의 식사) 시간엔, 도시 농부(일반 시민)와 농부학교 학생들, 선생님까지 함께 모여 각자의 농업의 비법을 전수하며, 나누는 소중한 시간이 됐다.

 

 

모내기 행사에는 참여한 한 박(가명) 씨는 가족과 같은 마음으로 각자 미리 준비한 막걸리와 수박 그리고 부침개를 나눠 먹으며 고단한 일상을 떠나 행복한 시간을 공유했다신혼처럼 달콤한 주말 생활, 이 시간이 참 감사하다고 말했다.

 


 

 

광명 텃밭(주말농장) 보급소를 운영하는 양인자 대표는 사라져 가는 모내기 풍경을 재현하고 이어가는 것은 단순한 먹거리를 넘어 우리 문화적 계승의 의미와 우리의 것을 지키고 더 발전하고 자 하는데 의미가 있다고 말하고 다음 세대들에게도 우리의 마음과 노력이 전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에 광명시 관계자는 도시 농부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시 정책에 반영해서 행복하고 즐거운 도시 농업 발전을 이끌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광명시는 소하· 신촌 시민 주말농장이 2015년 토지주택공사(LH)와의 임대계약이 만료됨에 따라, 19일부터 19일까지 진행된 시민과의 대화에서 시민이 제안한 시민 주말농장 확대 조성의견을 실행하기 위해 추경예산을 편성하고 하안동 밤일마을에 시민 주말농장을 조성과 밤일 시민 주말농장은 350구획으로 조성해 시민들이 도심에서 자연을 체험하고 건전한 여가를 보낼 수 있도록 시민 주말농장을 운영하고 있다.

 

 

도목현 기자 jointpt@hanmail.net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시, 4년 노력 끝 소나무재선충병 탈출…
희망의 싹을 틔운 '광명시 토종 씨앗 나눔 행사'
지자체소식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속보)‘명태균 게이트’ 제보자 강혜경, 16일 특검..
속보) 윤석열 전 대통령, 재구속 기로에… 굳은 표..
속보)‘채상병 특검’, 박정훈 대령 ‘항명’ 재판 ..
속보) 내란 특검, ‘체포 명단’ 폭로한 홍장원 소..
속보) 북한, 표류 주민 송환에 경비정 보내 화답…..
속보)‘김건희 특검’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 수사 ..
속보) 국민의힘, 새 혁신위원장에 윤희숙 여의도연구..
속보) 코스피, 8.27포인트(0.27%) 오른 3..
민주당‘내란정당 보조금 차단’ 특별법 발의
속보) 트럼프, "부유한 한국, 방위비 스스로 부담..
 
최신 인기뉴스
속보) 임은정 신임 서울동부지검장 "장의사 역할"
김건희 특검, 원희룡 출국금지·한학자 총재 입건…..
속보) 조은석 내란 특검, 윤석열 전 대통령 구속영..
이재명 정부 첫 민생회복 소비쿠폰, 이달 21일 지..
속보) 특검 "윤석열 전 대통령 구속영장 유출은 중..
속보) 서울중앙지법, 尹 구속영장 심사 9일 2시 ..
윤석열 전 대통령, 내란 특검 2차 조사 14시간 ..
속보) 일본 가고시마 도카라 열도, 규모 5.4 지..
속보) 이재명 정부 첫 고위당정협의회 개최…추경 신..
강선우 여가부 장관 후보자, '쌍방울 쪼개기 후원금..
 
신문사 소개 광고안내 이용약관 개인보호취급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