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대학내일20대연구소 “대학생 92.3%, ‘NO 카공족’ 카페 이해할 수 있다”

최영 기자 | 입력 17-09-20 14:21

하반기 공채가 다가와서 그런지 대학가 카페에는 자소서 쓰는 취준생들의 노트북이 줄을 잇고 있다. 이렇게 카페에서 공부나 업무를 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데, 이들을 지칭하는 ‘카공족(카페에서 공부하는 사람들)’은 더 이상 신조어가 아닌 문화로 자리 잡았다. 


이에 대학내일20대연구소가 전국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카공족과 카페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대학생 87.0%, 카페에서 공부한 경험 있다

카페에서 개인 공부, 개인 작업뿐만 아니라 팀플, 자소서 작성, 과외 등을 통틀어 ‘카공’이라고 정의했을 때 대학생 10명 중 1명(13.0%)만 카공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공 경험이 있는 카공족의 절반 가까이(45.2%)가 ‘매주 1회 이상’ 카공을 위해 카페를 찾고 있었다. 이들은 평균 2~3시간(41.0%) 동안 카페에서 위와 같은 활동을 한다고 답했다.

◇시설이 쾌적하고 눈치 주지 않는 카페 선호

대학생 카공족이 카페를 찾는 가장 큰 이유는 무선 인터넷이나 에어컨 등 시설이 쾌적하기 때문(31.8%)이었다. 마땅한 다른 공간이 없는 것(22.6%)도 이유 중 하나였다. 아무리 카공족이 많다지만, 카페가 원래 공부나 팀플 등을 위한 장소가 아니란 것을 그들도 알기 때문에 ‘눈치’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카공족이 카페에 갈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도 ‘오래 앉아 있어도 눈치를 주지 않는 분위기(23.4%)’였다.

◇카페에 머물 수 있는 적정 시간은 2~3시간

카공족의 46.7%(복수 응답)는 개인 카페에 가는 것을 피하고 있었고, 대학생 카공족의 절반(54.0%, 복수 응답)이 오래 머무는 게 미안해서 음료나 베이커리를 추가 주문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피 한잔(4000원 기준)을 주문했을 때 카공을 위해 카페에 머물 수 있는 적정 시간은 2~3시간(34.7%)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대학생 92.3%, ‘NO 카공족’ 카페 이해 간다

카공족에 대한 찬반 논란은 끊이질 않는다. 아예 카공족을 위한 카페도 등장했는데, 이를 부정적으로 보는 대학생은 17.7%뿐이었다. 대부분 긍정적이었는데, 카페 나름의 영업 전략이라고 생각(42.7%)하고, 눈치 안 보고 카공할 수 있는 공간이 생겨서 좋다(31.3%)고 답했다. 카공족을 거부하는 카페에 대해서도 대부분(92.3%)이 ‘카페 입장이 이해 간다’고 답했다.

◇카공하기 좋은 프랜차이즈 카페 1위, 스타벅스(39.7%)

대학생의 최애 카공 카페 브랜드는 스타벅스(39.7%)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카페에서 자소서를 작성한 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절반(52.9%)이 스타벅스를 좋아한다고 답했다. 아무래도 스타벅스에서는 눈치를 덜 봐도 되고, 무선 인터넷이나 에어컨, 콘센트 등의 시설이 완비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대학내일20대연구소 남민희 에디터는 “비양심적인 카공족도 있지만, 대학생 대부분이 카페가 영업 공간임을 이해하고 업주의 고충에 공감하고 있었다”며 “20대의 ‘카페에서 공부하는 문화’를 너무 부정적으로 볼 필요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 = 대학내일20대연구소]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영국 노동부에서 발급하는 ITEC 마이크로피그먼테이션(반영구화장) 레벨4 자격증 및 웨딩 메이크업, 속눈썹 연장 테스트가 한국 및 싱가폴에서 최초로 진행.
아시아그로스파트너스(AGP), 한국 중소기업들을 위한 베트남 시장 현황과 바이어가 좋아하는 상품제안서 작성방법 실무 강좌 실시
교육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속보) 내란특검, 한덕수 전 총리 불구속기소…'비상..
속보) 김건희특검, '집사 게이트' 핵심 인물 김예..
대통령실 "정치적 중립 의무 위반" 이진숙 방통위원..
단독) 만성 요통 방치하면 "척추 디스크 내장증",..
특검 "오늘 김건희 구속 기소…범죄수익 10억3천만..
728조 원 규모 내년 정부 예산안, 국무회의 통과
속보) 이 대통령, '노란봉투법'에 "노동계도 상생..
중부ㆍ호남, 소나기 소식 속 습도와 더위 계속…곳곳..
속보) 코스피, 12.48포인트(▲0.39%) 오른..
채상병 특검, '표적 수사' 의혹 국방부 검찰단 압..
 
최신 인기뉴스
단독)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회의
"대전시당"..
이커머스 전문 기업 "셀업 유니온" 가성비 좋은 자..
'9월 재혼' 김병만, 이혼 심경 첫 고백…"전처에..
부산 사상공단 공장서 LPG 폭발…2명 중상·초등..
속보) 한은 총재 "이론적으로 기준금리 1%p 인하..
이재명 대통령 "한반도 평화·비핵화 위해 긴밀 협..
속보) 정부, '2025년 세법개정안' 확정…내달 ..
속보) '황제 수감' 의혹...법사위, 9월 1일 ..
양육비 '월 20만원 미만' 받으면 국가가 선지급…..
속보) 코스피 9.94포인트(0.31%) 하락한 3..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