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녹십자, 세계 최대 혈액학회서 차세대 혈우병치료제 연구 데이터 공개

최종호 기자 | 입력 17-12-26 09:26

유용한 뉴스를 공유해보세요.

녹십자가 약물 지속시간을 획기적으로 늘린 차세대 혈우병치료제 연구데이터를 공개했다.


녹십자(대표 허은철)는 9일부터 12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애틀랜타에서 열린 ‘제59회 미국 혈액학회(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이하 ASH) 연례회의’에서 목암생명과학연구소(소장 최승현)와 공동으로 개발 중인 차세대 혈우병A형치료제 ‘MG1121’의 비임상 데이터를 발표했다.

‘MG1121’은 비임상 시험에서 혈중 약물 농도가 절반이 되는 시간인 반감기가 기존 제품 대비 3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틀 또는 사흘에 한 번 꼴이던 혈우병치료제 투약 빈도가 주 1회로 줄어들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혈우병은 혈액응고인자의 선천적 결핍에 따른 출혈성 질환으로 치료 또는 출혈예방을 위해 혈우병치료제를 주기적으로 평생 투여해야 한다. 이 때문에 제약업계는 약효 지속시간을 늘려 약물 투여 횟수를 줄임으로써 환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것이 혈우병치료제 연구의 핵심이라고 본다.

학회에 참석한 다국적제약사 및 미국 보건당국 관계자들도 ‘MG1121’에 적용된 기술이 최근 개발되고 있는 혈우병치료제보다 진일보했다는 점을 주목했다.

‘MG1121’에는 반감기 증가와 동시에 약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녹십자의 축적된 다양한 단백질제제 기술이 적용됐다.

이번 비임상시험의 책임연구자인 조의철 목암생명과학연구소 책임연구위원은 “혈우병 환자의 편의성 개선이 제품 개발의 핵심이다”며 “주 1회 투여 가능성을 확인한 만큼 개발속도를 더욱 끌어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전 세계 혈우병 환자수는 약 40만명 정도로 보고된다. 이 가운데 80%가 제8응고인자가 부족한 혈우병 A형 환자다.

[용인 = 녹십자]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SK, 수면장애치료신약 NDA 완료
이혁·표정의 교수 연구팀, ‘운동량·운동강도 따라 역류성식도염 위험 최대 50% 감소’ 연구 결과 발표
좋은생각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트럼프 미 대통령, 12개국에 상호 관세율 서한 발..
메가박스-롯데시네마 합병, 한국 영화산업 30년 지..
속보) 이재명 정부 첫 추경안, 국무회의 최종 의결..
속보) 12.3 내란 특검, 윤석열 전 대통령 2차..
속보) 이재명 정부 첫 민생회복 소비쿠폰, 이달 2..
전·현직 기자 20여 명, 선행매매 혐의로 금융 ..
삼부토건 원희룡 만나고 계획 '우크라 테마주' 논란..
김민석 신임 총리, 우원식 국회의장 예방…국회와 정..
이재명 대통령 "세종 제2집무실 오랜 약속"
속보) 31.8조 이재명 정부 첫 추경안, 국회 본..
 
최신 인기뉴스
이재명 대통령 "세종 제2집무실 오랜 약속"
속보) 대통령실, 이재명 대통령 중국 '9·3 전..
속보) 대관령 휴게소 식당가 SUV 돌진, 16명 ..
예금보호 한도 1억 원 상향, 하반기 달라지는 민생..
속보) 한덕수 전 국무총리, 내란 방조 혐의로 특검..
속보) 2025 KBO 올스타전 예매, 오픈 직후 ..
속보) 이재명 대통령, 취임 30일 기자회견…민생 ..
속보) '순직 해병' 특검 공식 출범…임성근 전 사..
속보) '김건희 특검' 공식 출범, 민중기 특검 "..
채상병 특검, '채상병 사망 사건' 핵심 인물 이종..
 
신문사 소개 광고안내 이용약관 개인보호취급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