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속보) 경찰·식약처, '끼임 사망' SPC삼립 시화공장 합동점검 시작

이수민 기자 | 입력 25-07-15 10:28



지난 5월 노동자 끼임 사망 사고가 발생했던 SPC삼립 시화공장에 대해 경찰과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가 15일 합동점검에 착수했다. 이번 점검은 사망 사고와 더불어 제빵 공정에 사용된 윤활유에서 유해 물질이 검출된 의혹까지 제기되면서, 공장 전반의 안전 및 위생 관리 실태를 면밀히 들여다보기 위함이다.

경기 시흥경찰서는 오늘 오전, 식약처 관계자들과 함께 10여 명의 인력을 SPC삼립 시화공장에 투입하여 제조 과정 전반에 대한 합동점검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점검은 지난 5월 19일 이 공장에서 50대 여성 노동자가 크림빵 생산라인의 냉각 컨베이어 기계에 끼어 숨진 사고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

경찰은 사망 사고 조사 과정에서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으로부터 공장 내 제빵 공정에 사용된 식품용 윤활유에서 인체에 유해한 염화메틸렌과 이소프로필알코올 성분이 검출됐다는 감정 결과를 지난 1일 통보받았다. 특히 사고가 발생한 컨베이어 기계의 윤활유 자동 분사장치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해 노동자가 직접 윤활 작업을 하던 중 사고를 당했다는 진술도 확보된 상태다.

경찰 관계자는 "단순히 윤활유 문제뿐만 아니라 제빵 과정에서의 위생 관리를 비롯한 식품위생법 위반사항 전반을 점검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이번 점검이 사망 사고의 원인 규명뿐 아니라 공장 운영 전반의 안전 및 위생 문제로까지 확대될 것임을 시사한다.

SPC그룹은 이번 논란에 대해 "당사에서 사용하는 윤활유는 식품 등급을 받은 글로벌 기업 제품으로, 국내 주요 식품사들이 사용하고 있다"며 "제조사로부터 받은 물질안전보건자료상에는 해당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했다"고 해명한 바 있다.

이번 합동점검 결과에 따라 SPC삼립 시화공장의 추가적인 법적 책임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유사한 기계를 사용하는 SPC 계열사들의 안전 관리 실태 전반에 대한 점검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어, 이번 사건이 식품 및 제빵 산업 전반의 안전 관리 강화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속보) 노동부·경찰, '맨홀 사망' 인천환경공단 압수수색…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 수사
경찰, '늘봄학교 특혜 의혹' 윤석열 정부 대통령실 압박 수사 착수
경찰청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서울 집값 잡겠다"던 10·15 대책, 정작 충..
경찰 고위직 51명 대규모 인사...서울청 수사 지..
이화영 "김성태 생일, 여성들이 검찰청에 케이크 반..
어린이 '키 크는 주사'의 위험한 유행...3040..
"갭투자" 잡은 10·15 대책, 서울 전세 매물..
'채해병 수사외압' 5인방 영장 기각...특검, 윤..
9월 이례적 늦더위 여파...설악산 단풍, 평년보다..
"돈 받고 왜 고맙다 안 하나"...강호동 농협회장..
국감장 호통친 명태균에 '묵묵부답' 오세훈, "오세..
민주당 “장동혁, 전국 부동산 싹쓸이…아파트만 4채..
 
최신 인기뉴스
속보) 한국은행, 기준금리 연 2.50%로 3연속 ..
칼럼) "휴먼다큐 사랑" 우리가슴에 forever
정청래 "조희대, 사법부 수장 자격 이미 상실…거취..
"코로나 진원지" 신천지 이만희, 적십자 회장 표창..
단독) 통합자세의학회, 한국미디어일보 의료학술단체 ..
최민희 과방위원장의 "보도 항의"성 퇴장 조치, 한..
북한, 5개월의 침묵 깨고 동해상 탄도미사일 발사...
경찰 창경 80주년, '보라색 혹평' 딛고 새 경찰..
"제주 4·3 김일성 지시설" 발언 태영호 전 의..
국내 금 "김치 프리미엄" 20% 육박 후 8%대로..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