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교수 시절 작성한 다수 논문에 제기된 표절 논란에 대해 "학계의 상황을 이해하지 못한 결론"이라며 사실이 아니라고 강력히 해명했다. 또한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에 대해서도 이공계 연구 관행에 비춰 문제가 없다고 반박했다.
이 후보자는 오늘(16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자신에게 제기된 논문 표절 의혹과 관련해 "2007년부터 충남대 총장에 임용되기 전까지의 약 100편의 논문을 충남대가 외부 전문가들과 함께 검증했고, 모두 (표절률이) 10% 미만이라고 판정받았다"고 밝혔다. 이어 "여러 언론이 지적한 2007년 이전의 논문들을 저도 한번 카피킬러로 돌려봤는데 10%를 겨우 넘었다"며, "카피킬러는 유사 자료가 겹칠 때마다 유사율이 올라가기 때문에, 전문가가 하나씩 다 제외해가면서 정확히 돌려야 진정한 유사율이 나온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모든 전문가가 지적하듯 카피킬러 자체를 신뢰할 수 없다"고 강조하며 표절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에 대해서도 이 후보자는 이공계 연구 관행을 들어 반박했다. 그는 "가장 많이 지적되는 것이 부당한 저자 표시, 즉 제1저자로 쓰면서 제자 논문을 가로챘다는 것"이라며, "논문을 작성할 때 이공계에서는 공동 연구자들끼리 논문 작성 기여도를 따지고 이에 따라 제1저자를 결정한다"고 설명했다.
이 후보자는 "이공계의 경우 대학원생 학위 논문 연구는 지도 교수가 수주해 온 국가 과제나 연구 과제로 수행된다"며, "그것을 학생은 세부 과제로 진행하고 발전시켜서 본인의 학위 논문으로 가는 게 일반적인 논문 발표 순서"라고 강조했다. 또한, "학위 논문 연구는 지도 교수가 수행하는 연구 과제의 일부분인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지도 교수와 대학원생 간 기여도를 고려해 제1저자를 결정해야 한다는 것이 연구재단의 지침"이라고 덧붙였다.
자신이 제자와 공동 연구한 논문 중 제1저자로 오른 경우는 전체의 약 30% 정도이며, 나머지 70%는 제자와 공동 연구 혹은 참여 연구 형태로 진행했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큰 실수가 있었다면 세세한 것, 이를테면 윤리위 기준에 속하지 않는 오탈자 등이 있었던 것"이라고 인정했다.
'본인이 주 저자라면 제자의 학위가 무효가 되는 것 아니냐'는 질의에 이 후보자는 "충남대에서는 이공계의 경우 교수와 학생이 공동으로 논문을 발표해야 학위(논문)를 낼 수 있는 자격을 얻는다"며 "그래서 제자와 교수가 공동으로 연구하는 것은 필수"라고 답했다.
이번 인사청문회에서 이진숙 후보자는 제기된 의혹들에 대해 학계의 특수성과 관행을 들어 적극적으로 해명하려 노력했다. 그러나 이러한 해명이 국민적 의혹을 해소하고 장관으로서의 자질을 충분히 입증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