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속보) 코스피, 장중 3600선 첫 돌파…반도체 훈풍 타고 "새 역사"

정한영 기자 | 입력 25-10-10 09:55



추석 연휴를 마치고 돌아온 국내 증시가 개장과 동시에 사상 처음으로 3600선 고지를 밟으며 새로운 역사를 썼다. 긴 연휴 기간 동안 쌓인 투자심리가 인공지능(AI)발 반도체 슈퍼 사이클 기대감과 맞물리며 폭발적인 매수세로 이어진 결과다. 간밤 뉴욕 증시가 차익 실현 매물로 조정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증시는 독자적인 동력으로 강하게 상승 출발하며 시장의 견고한 체력을 증명했다.

10일 오전 9시 5분 기준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40.53포인트(1.14%) 상승한 3589.74를 기록했다. 지수는 이보다 앞선 개장 직후 전장보다 48.90포인트(1.38%) 급등한 3598.11로 출발해 단숨에 3600선을 넘어섰다. 이후 차익 실현 매물이 일부 출회되며 상승분을 소폭 반납했으나, 3600선 안착에 대한 기대감은 여전히 시장 전반에 팽배하다.

이날 역사적인 상승의 주역은 단연 반도체 업종과 외국인 투자자였다. 연휴 직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미국의 인공지능 기업 오픈AI와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공급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는 소식은 시장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했다. 이는 AI 시장의 폭발적 성장이 국내 반도체 기업들의 장기적인 실적 향상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확신을 심어주었고, 연휴 기간 내내 재평가된 기업 가치가 이날 매수세로 집중 유입된 것으로 분석된다.

수급 측면에서도 외국인의 강력한 "바이 코리아" 행보가 지수를 견인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연휴 전에도 반도체주를 중심으로 조 단위의 순매수를 기록하며 3500선 돌파를 이끈 바 있으며, 이날 개장 초반에도 대규모 매수 우위를 보이며 지수 상승을 주도하고 있다. 정부가 추진해 온 자본시장 선진화 정책과 원화 강세 기조가 맞물리면서 한국 증시의 재평가가 본격화되고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된다.

증권가에서는 코스피 3600 시대의 개막을 기점으로 새로운 상승 추세가 형성될 수 있다는 낙관론이 확산하는 분위기다. 다수의 증권사는 이미 하반기 기업 이익 개선과 정부의 정책 효과를 근거로 3600선 도달 가능성을 예측해왔다. 다만, 단기 급등에 따른 변동성 확대와 향후 발표될 국내외 경제 지표들이 시장의 지속적인 상승을 위한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법원, 윤석열 전 대통령 "궐석재판" 고심…특검 "구인영장 발부" 촉구
'내란' 수사,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 구속영장 청구
금융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캄보디아 범죄단지 ‘웬치’ 직접 다녀온 연루자 “죽..
대법원, 최태원 회장 이혼소송 재산분할 1조 380..
국힘 회의장 '일촉즉발'…최혁진, 마이크 잡고 "곽..
속보) 특검, 인권위 김용원 상임위원 압수수색…
정부, 세 번째 부동산 대책 발표…“단기 효과는 있..
법사위 국감, 여야 고성 끝 ‘감사 중지’… 추미애..
세종시 ‘대법원 시대’ 논의 본격화…“서초 신청사 ..
단독) 셀업유니온, K-뷰티 디렉터 양성 위한 세미..
현직 부장검사 “쿠팡 퇴직금 미지급 사건, 윗선이 ..
정치와 종교 유착 의혹에 여야 충돌…오늘 독립기념관..
 
최신 인기뉴스
세종시 ‘대법원 시대’ 논의 본격화…“서초 신청사 ..
속보) 코스피, 0.55% 상승한 3604선 출발…..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 프랑스 순방 당시 ‘반려견..
단독) (주)파이온텍·셀업유니온, 기술과 유통 융..
단독) 셀업유니온, K-뷰티 디렉터 양성 위한 세미..
피아니스트 임윤찬 “한국 생활은 지옥 같았다”…치열..
조국 “오세훈식 재건축은 서민·청년 내몰아…
서울 주택가에 ‘무단 태극기 게양’…주민 불안과 갈..
속보) 정부, 부동산 감독조직 신설 추진…김용범 “..
올해 노벨경제학상, ‘기술 혁신과 경제 성장’ 연구..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