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서울 30대 무주택 가구 역대 최대치 기록... 집값 폭등과 늦어진 사회 진출이 내 집 마련 장벽 심화

주민지 기자 | 입력 25-11-24 14:45



지난해 서울에 거주하는 30대 무주택 가구 수가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이래 최대 규모를 기록하며, 젊은 세대의 생애 첫 내 집 마련이 갈수록 어려워지는 현실이 수치로 확인되었다. 높은 집값과 함께 사회 진출 및 결혼 시기가 늦춰지는 구조적 변화가 맞물리면서 30대 가구의 주택 소유 기반이 취약해지고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국가데이터처 등 관련 기관의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 거주하는 30대 무주택 가구는 52만 7천729가구로 집계되었다. 이는 2023년보다 1만 7천215가구가 늘어난 수치이며,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5년 이후 가장 많은 규모다. 서울 30대 무주택 가구 수는 지난 2019년부터 6년 연속 증가세를 지속하며, 주택 시장에서 30대가 가장 취약한 계층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시사한다.

반대로 서울에서 30대 주택 소유자의 수는 3년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서울의 30대가 소유한 주택은 18만 3천456가구로, 1년 전 대비 7천893가구 감소하면서 역대 가장 적은 수준을 기록했다. 특히 무주택 가구가 주택 소유 가구보다 3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그룹 간의 격차 또한 통계 작성 이후 가장 큰 수준으로 벌어져 젊은 세대 내에서의 주택 소유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30대 가구의 주택 소유율 역시 눈에 띄게 하락하고 있다. 지난해 서울 30대 가구의 주택 소유율은 25.8%로, 통계 초기 시점인 2015년의 33.3%와 비교하면 8%포인트 가까이 줄어든 수치다. 전국 기준으로 기준을 확대해도 30대의 주택 소유율은 36.0%로 6년째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어, 주택 시장 진입 장벽 문제가 특정 지역을 넘어 전국적인 현상임을 확인시켜준다.

전문가들은 이처럼 30대의 주택 매입률이 갈수록 낮아지는 근본적인 원인으로 취업과 결혼 시기가 점차 늦춰지는 사회적 흐름을 가장 큰 요인으로 꼽는다. 과거보다 경제력을 갖추는 시점이 늦춰지면서 자연스레 생애 첫 주택 구매 시점 역시 지연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또한, 정부가 올해 강력한 부동산 정책을 잇달아 발표하면서 대출 규제 등이 강화되어, 향후 30대 젊은 층의 주택 구매 진입장벽이 더욱 높아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이는 주택 가격 안정화라는 정책 목표와 별개로, 실수요자인 30대의 자가 주택 마련 기회를 제약하는 이중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서울 30대 무주택 가구 역대 최대치 기록... 집값 폭등과 늦어진 사회 진출이 내 집 마련 장벽 심화
지난해 서울에 거주하는 30대 무주택 가구 수가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이래 최대 규모를 기록하며, 젊은 세대의 생애 첫 내 집 마련이 갈수록 어려워지는 현실이 수치로 확인되었다. 높은 집값과 함께 사회 진출 및 결혼 시기가 늦춰지는 구조적 변화가 맞물리면서 30대 가구의 주택 소유 기반이 취약해지고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국가데이터처 등 관련 기관의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 거주하는 30대 무주택 가구는 52만 7천729가구로 집계되었다. 이는 2023년보다 1만 7천215가구가 늘어난 수치이며,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5년 이후 가장 많은 규모다. 서울 30대 무주택 가구 수는 지난 2019년부터 6년 연속 증가세를 지속하며, 주택 시장에서 30대가 가장 취약한 계층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시사한다.

반대로 서울에서 30대 주택 소유자의 수는 3년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서울의 30대가 소유한 주택은 18만 3천456가구로, 1년 전 대비 7천893가구 감소하면서 역대 가장 적은 수준을 기록했다. 특히 무주택 가구가 주택 소유 가구보다 3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그룹 간의 격차 또한 통계 작성 이후 가장 큰 수준으로 벌어져 젊은 세대 내에서의 주택 소유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30대 가구의 주택 소유율 역시 눈에 띄게 하락하고 있다. 지난해 서울 30대 가구의 주택 소유율은 25.8%로, 통계 초기 시점인 2015년의 33.3%와 비교하면 8%포인트 가까이 줄어든 수치다. 전국 기준으로 기준을 확대해도 30대의 주택 소유율은 36.0%로 6년째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어, 주택 시장 진입 장벽 문제가 특정 지역을 넘어 전국적인 현상임을 확인시켜준다.

전문가들은 이처럼 30대의 주택 매입률이 갈수록 낮아지는 근본적인 원인으로 취업과 결혼 시기가 점차 늦춰지는 사회적 흐름을 가장 큰 요인으로 꼽는다. 과거보다 경제력을 갖추는 시점이 늦춰지면서 자연스레 생애 첫 주택 구매 시점 역시 지연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또한, 정부가 올해 강력한 부동산 정책을 잇달아 발표하면서 대출 규제 등이 강화되어, 향후 30대 젊은 층의 주택 구매 진입장벽이 더욱 높아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이는 주택 가격 안정화라는 정책 목표와 별개로, 실수요자인 30대의 자가 주택 마련 기회를 제약하는 이중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음기사글이 없습니다.
고위 공직자 49%가 다주택자…조성명 강남구청장, 주택 42채 보유로 최다 기록
부동산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국내 최대 규모 성착취 "자경단" 총책 김녹완에 법..
서울 30대 무주택 가구 역대 최대치 기록... 집..
서울 소상공인 10곳 중 1곳만 AI 활용... "..
서울 광장시장 일반 상인회, "바가지 논란" 노점상..
강남 대형 치과, 입사 이틀만 퇴사 직원에게 180..
이재명 대통령 국정 지지도 55.9%... 민주당,..
한국 증시, 미 증시 훈풍에 1%대 급등 출발.....
검찰청 폐지 논란 속… 검찰 내부 동요 확산,
대한전공의협의회, 국회 통과 '지역의사제'에 인재 ..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 내년 지선 국민의힘과 "연대..
 
최신 인기뉴스
'휴대전화 문제' 광주 아파트서 여중생 방화… 주민..
새벽 양천구 아파트 '필로티 화재' 대규모 인명피해..
안세영, 호주오픈 10관왕 도전…5천만 원 상금까지..
칼럼) 서울 자가에 대기업 다니는 김부장 이야기 <..
BTS 진·백종원 공동 투자 '백술도가', 원산지..
설경구·김재중, 씨제스스튜디오 백창주 대표 상대로..
공수처 지귀연 부장판사 ‘룸살롱 접대 의혹’
..
시카고 도심 ‘틴 테이크오버’ 중 총격…10대 난동..
조희대 대법원장, 법원노조 평가서 '최하위' 기록…..
조국 "나는 김영삼 키즈, 혁신당 DNA는 김영삼 ..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