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방위사업청, ‘수상함 및 잠수함용 자항식기만기’ 체계개발 성공

방위산업청 | 입력 13-12-23 09:05

유용한 뉴스를 공유해보세요.

  • 방위사업청(청장 이용걸)은 12월 20일 울산-I급 이상 수상함 및 장보고-II급 이상의 잠수함에서 운용할 수 있는 자항식기만기 체계개발을 완료하였다.
  • 그동안 해군은 적 어뢰 공격에 대응할 만한 방어용 무기체계가 제한된 상황에서 부유식기만기만 사용하여 적 어뢰 경보시스템 및 대응체계를 운용해 왔다.
  • 천안함 피격 사건 이후 적 어뢰에 대한 함정의 대응능력이 더욱 중요해짐에 따라, 방위사업청은 적 어뢰 공격으로부터 함정의 생존성 향상을 위해 자항식기만기를 2010년부터 약 3년간 290억원을 투자해 개발하였다.



  • 자항식기만기는 수상함용과 잠수함용으로 구분해 개발하였다.
    • 수상함용 자항식기만기는 아군 수상함의 추진기(프로펠러) 소음보다 훨씬 큰 광대역 잡음신호를 생성하면서 기동이 가능하다.
    • 잠수함용 자항식기만기는 광대역 잡음신호생성 뿐만 아니라 적 어뢰의 소나신호 및 적 함정 소나 신호에 대해서도 아군 잠수함 형태의 반사신호를 생성하며 기동함으로써 아군함정의 생존성을 높였다.
  • 방위사업청은 자항식기만기 연구개발 시, 해상/수중환경의 불확실성 최소화를 위해 최첨단 기법을 적용하였다. 사전 성능예측이 육상에서도 가능하도록 HILS 등의 모델링/시뮬레이션을 최대한 활용하여 약 7개월의 연구개발 기간 단축 및 9억원의 비용을 절감하였다. 또한, 주요 구성품의 95% 이상을 국산화하여 후속 군수지원 체계를 확보함으로써 군의 운용 및 정비에 용이성을 제공하였다.
  • 지휘정찰사업부장(공군준장 이성용)은 “이번에 개발이 완료된 ‘자항식기만기’가 전력화되어 함정에 탑재되면 적의 어뢰공격이 재발된다 하더라도 함정의 어뢰 회피 대응능력이 확보되어 함정 생존성이 더욱 향상될 것이다.“라는 소감을 전했다.
  • 자항식기만기 체계는 2014년 후반기에 LIG넥스원과 양산계약을 체결해 2015년부터 군에 전력화할 예정이다.

[자료제공 :(www.korea.kr))]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무인경계시스템 탐지성능, 경계작전 지장 없는 범위내 설정
품격 높은 조선왕실 문화유산에 대한 길라잡이, 「궁에서 왕을 만나다」 발간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속보) 채상병 특검, 윤석열 전 대통령 자택 전격..
속보) 채상병 특검, 임종득 의원, 조태용 전 국가..
속보) 트럼프, 전방위 관세폭탄 선언…캐나다 35%..
속보) 'VIP 격노설' 정조준…특검, 오늘 김태효..
속보) 코스피 0.1% 오른 3,186.35 개장...
속보) '전직 대통령' 신분으로 재수감…윤석열, 오..
속보) 내년 최저임금 1만 320원, 2.9% 인상..
'리박스쿨 특혜 외압' 국회 청문회, 前정부 대통령..
속보) 윤석열 전 대통령 재구속, 임은정 지검장 "..
속보) 김건희 특검, '무혐의 종결' 코바나컨텐츠 ..
 
최신 인기뉴스
김건희 특검, 원희룡 출국금지·한학자 총재 입건…..
속보) 윤 전 대통령 124일 만에 서울구치소 재구..
속보) 머스크, "아메리카당" 창당 선언…테슬라 주..
"지역화폐, 국가 재정지원 의무화" 지역화폐법 개정..
민생회복 소비쿠폰, 어디서 어떻게 쓸까?…헷갈리는 ..
속보) 김건희 특검, 공천 개입 의혹 동시다발 압수..
속보) 김건희 특검팀, 경찰청 압수수색…업무 협조..
속보) 대통령실, "관세 협상, 국익 관철 더 중..
속보) "尹 운명의 날" D-1…법원, 청사 보안 ..
법사위, '검찰청 폐지' 법안 공청회 개최…본격 입..
 
신문사 소개 광고안내 이용약관 개인보호취급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