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ㆍ유통 오피니언 의료
 

 

LG화학, 배터리 안전성강화분리막 유럽·일본 특허 등록

기사제공 : 후와이어드 | 승인 14-01-22 22:10

유용한 뉴스를 공유해보세요.
LG화학은 배터리 핵심 소재인 분리막의 안전성을 강화하는 자사의 SRS®(배터리 안전성강화분리막) 기술과 관련하여, 최근 유럽 및 일본 특허청에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LG화학은 ’07년 한국, ’10년 미국, ’12년 중국에 이어 올해 유럽과 일본까지 세계 주요 2차 전지 시장에서 관련 원천 기술 특허를 확보하게 되었다.

SRS® 특허 기술은 기존 분리막에 비해 열수축 및 전기적 단락을 개선하여 전지의 성능 및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것으로 LG화학이 세계 2차 전지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하는 데 원동력이 되고 있는 기술이다.

실제로 이 기술은 LG화학이 GM·포드·르노·현대기아차·볼보 등 세계 유수의 완성차 업체와 ABB, SCE, SMA 등 세계 최고 수준의 전력 관련 회사들의 배터리 공급업체로 선정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수십~수백 개의 배터리 셀을 연결해 사용하는 중대형배터리 분야에서는 각각의 개별 셀들이 균일한 고성능을 내야 전체적인 성능이 담보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양극과 음극의 접촉을 막아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올린 분리막의 성능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LG화학은 이번 특허 등록으로 한국·미국·중국·유럽 등 2차 전지 분야의 핵심 전략 시장 공략 기반을 한층 강화하게 되었으며 특허 선점을 통해 경쟁사들의 무단 모방 가능성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관련 LG화학 기술연구원장 유진녕 사장은 “이번 유럽 및 일본 특허 등록으로 세계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LG화학 2차 전지의 우수한 기술력을 다시 한번 인정받은 바, 이 기술을 더욱 확대, 발전시켜 2차 전지의 세계 최고경쟁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해 나가겠다”고 하면서, “SRS® 기술은 LG화학이 막대한 R&D 투자비와 인력을 투입, 독자 개발을 통해 국내외 350여건의 강력한 특허망을 구축하며 세계로부터 인정 받은 소중한 원천기술인 만큼 우리나라의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라도 이를 무단으로 사용하려는 시도는 없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LG화학은 2012년부터 글로벌 시장조사업체인 네비건트 리서치가 발표하고 있는 전기차 및 ESS분야 세계 리튬 이온 배터리 제조업체 경쟁력 순위 평가에서 지속적으로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2013년 美 특허평가기관인 ‘페이턴트 보드(The Patent Board)’의 미국내 특허경쟁력 평가에서도 국내 화학업계에서는 유일하게 세계기업 순위 7위(화학분야)에 랭크되는 등 원천 기술을 바탕으로 세계 중대형 2차 전지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LG생활건강, 보브(VOV) 모델로 클라라 발탁
미래테크놀로지, 신용카드형 OTP 출시
금융 기사목록 보기
 
인기뉴스
속보) 노종면 의원 "민주당 선대위 대변인" 지귀연..
5월 가정의 달 "가족" 함께 만드는 행복한 세종시..
속보) 트럼프 "중국과의 합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10대 공약 쏟아낸 대선 후보들…'조 단위' 예산 ..
부실 지정된 MG손보, 가교 보험사 방식으로 청산 ..
 
최신 인기뉴스
5월 가정의 달 "가족" 함께 만드는 행복한 세종시..
정치칼럼) 이재명 정부 keyword "국민주권정부..
속보) 서울~양평 고속도로 노선 변경 특혜 의혹…경..
속보) 서울서부지법 폭동 사건 관련 피고인 4명에 ..
속보) 대법원 “지귀연 부장판사 의혹”, 윤리감사관..
 
회사소개 광고안내 이용약관 개인보호취급방침 이메일수집거부 기사제보 구독신청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