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인테이크 “20-30대 43%, 끼니 제때 못 챙긴다”

최종호 기자 | 입력 16-04-13 16:08

20-30대 청춘의 43% 이상이 식사를 규칙적으로 챙겨 먹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이프스타일푸드 전문업체 인테이크가 7일 설문조사 기관인 오픈서베이를 통해 20~39세 1000명을 대상으로 ‘대한민국 20-30대 식사 패턴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43.4%가 식사를 규칙적으로 챙겨 먹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진제공: 인테이크푸즈)


식사를 규칙적으로 챙겨 먹지 못하는 이유를 묻는 문항에는 ‘바빠서’가 36.9%로 가장 많았고, ‘귀찮아서’ 23.8%, ‘습관이 되어서’ 18.0%, 기타 21.3% 순으로 나타났다.

바쁠 때 주로 먹는 식사의 종류를 묻는 문항에는 ‘삼각김밥과 같은 즉석섭취식품’이 32%로 가장 많았고 ‘빵류’가 25.7%, ‘집 백반’ 11.3%, ‘외식’ 10.2%, ‘선식 및 두유’ 9.8%, ‘먹지 않는다’ 7.7%, 기타 3.3%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별과 직업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불규칙적인 식사를 하는 비율이 남성의 경우 36.6%에 불과한 반면 여성의 경우 50.2%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직업별 불규칙적인 식사의 비율은 직장인은 36.3%에 불과한 반면 전업주부는 64.6%, 무직·기타는 57.4%, 대학생은 46.3%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생활 패턴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식사의 조건을 묻는 문항에서는 ‘맛’이 34.1%로 가장 많았고, ‘편의성’이 27.8%, ‘영양 균형’이 21.6%, 기타 16.5%순으로 나타나 식사의 기본적인 목적인 맛과 영양 균형뿐만 아니라 편의성 또한 식사 선택의 중요한 가치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테이크는 최근 20-30대 젊은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이 변화됨에 따라 규칙적인 식습관을 유지하는 현대인의 비율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며, 국내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불규칙한 식사생활이 비만, 성인병, 위장장애 등을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아무리 바쁘고 귀찮더라도 영양 균형이 잡힌 식사를 제 시간에 섭취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유지를 위해 아주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직장인 영양 상태 설문 조사 통해 아·태지역 직장인 대다수는 주로 앉아 있는 생활 방식 때문에 비만 위험이 높은 것으로 드러나
아이들이 빨리 자란다고…환경호르몬, 스트레스로 인한 성조숙증 의심해 봐야
사회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제기동 다세대주택 방화 용의자 구속영장 신청
법무부, 윤석열 전 대통령 "실명 위기설" 일축 …..
이춘석 의원, 주식 차명 거래 혐의 일부 인정…경찰..
전남 여수 항구서 선박 화재…1명 사망, 2명 부상
김건희 집사' 김예성 구속영장 발부…'집사 게이트'..
속보) 트럼프-푸틴 공동 기자회견, '우크라이나 휴..
단독) 국민주권 대축제 "제21대 대통령 국민임명식..
이시바 일본 총리, 패전일 추도사서 13년 만에 '..
현역 태권도 관장, 여자친구 폭행 후 주거침입 시도..
속보) '김건희 집사' 김예성, 구속심사 출석…신병..
 
최신 인기뉴스
단독) 조국 전 대표, 광복절 특별사면으로 석방…<..
이재명 대통령 국민임명식·대규모 집회로 경찰 6천..
"김건희, 서울남부구치소 독방 수감…전직 대통령 배..
"카카오톡 메시지 삭제, 최장 24시간으로 확대…익..
속보) "코스피, 뉴욕증시 훈풍에 3200선 회복…..
단독) 구속된 김건희, 오늘 특검 소환조사…'반클리..
"이 대통령, 교육부·여가부 장관 후보자 지명…<..
속보) '박정훈 항명 입건' 국방부 검찰단장, 특검..
단독) 김건희, 특검 조사서 대부분 진술 거부…
7월 취업자 10만 명대 증가 지속…건설·제조업 ..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