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신입공채 취준생 10명중 4명은 불필요한 스펙 있어

최종호 기자 | 입력 16-09-21 19:57

취업포털 잡코리아(대표 윤병준)가 취업준비생 1,147명을 대상으로 스펙에 관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취업준비생 10명중 4명은 자신의 스펙 중 ‘잉여 스펙’이 있다고 답했다

 

(사진제공: 잡코리아)


설문에 참여한 취업 준비생들에게 ‘현재 보유하고 있는 스펙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지’ 묻자 90.1%의 응답자들이 ‘부족하다(부족하다+매우 부족하다)’고 답했다. 취업 준비생들이 보유하고 있는 스펙으로는 ‘아르바이트 등 사회생활 경험(70.8%), ‘공인어학성적(37.8%), ‘유관 분야 인턴, 실무 경험(32.2%), ‘유관 분야 자격증(32.1%)’ ‘대외활동 경험(23.7%)’ 등이 있었다
.


취업 준비생들에게 ‘하반기 신입공채에 지원하고 있는지’ 묻자 72.9%의 응답자들이 ‘지원하고 있다’고 답했다. 반면, ‘지원하지 않는다’고 답한 응답자는 27.1%였다. 이들이 하반기 신입공채에 지원하지 않는 이유로는(*복수응답) ‘다른 구직자들에 비해 스펙이 부족한 것 같아 준비하기 위해’라는 답변이 응답률 59.2% 1위를 차지했다
.


이처럼 다수의 취업 준비생들이 자신의 스펙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가운데, 취업 준비생들의 ‘잉여 스펙 현황’을 조사했다. 취업 준비생들에게 ‘보유한 스펙 중 불필요한 잉여 스펙이 있는지’ 물었다. 그러자 39.9%의 응답자들이 ‘그렇다(그렇다+매우 그렇다)’고 답했다
.


스펙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들에게 ‘불필요한 스펙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꾸준히 스펙을 쌓으려는 이유’를 묻자(*복수응답), ‘구직자들의 스펙이 상향 평준화 돼서’라는 답변이 53.7%의 응답률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취업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 때문에(36.9%), ‘탈스펙 전형, NCS전형 등 스펙을 중시하지 않는 전형이 있지만 실상 높은 스펙을 선호할 것 같아서(27.3%)’라는 답변이 뒤를 이었고, ‘스펙 이외에 무엇을 준비해야 할지 몰라서(26.2%)’라는 답변도 상위권을 기록해 눈길을 끌었다
.


‘앞으로도 구직자들이 스펙을 중시하는 경향이 지속될 것이라 생각하는지’ 묻자 80.7%의 응답자들이 ‘그렇다’고 답했다. 다음으로 ‘잘 모르겠다(12.6%)’는 답변이 뒤를 이었고 ‘아니다’는 답변은 6.6%에 불과했다
.


스펙 중시 경향이 지속될 것이라 생각하는 이유로는(*복수응답), ‘구직자들의 스펙이 꾸준히 상향 평준화 될 것 같아서(51.7%), ‘학연 등 기본적인 스펙을 중시하는 풍토가 없어지지 않을 것 같아서(50.1%)’ 라는 답변이 상위권을 기록했다
.


반면, 지속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하는 이유에는(*복수응답), ‘스펙은 변별력이 떨어진다는 인식이 확산될 것 같아서(50.0%), ‘스펙을 중요시하지 않는 채용 문화가 확산될 것 같아서(44.7%), NCS전형, 탈스펙 전형 등 스펙 초월 전형이 자리잡을 것 같아서(28.9%)’ 등의 답변이 있었다.


잡코리아 박성균 상무는 “최근 잡코리아 평균 합격스펙 서비스를 이용하는 취업준비생들의 수가 늘어나고 있다”면서 “이는 취업준비생들이 다른 지원자들의 평균 스펙을 확인하고 자신의 부족한 스펙을 보완하는 트렌드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서울 = 잡코리아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경없는의사회, 대구사진비엔날레서 전세계적 난민 문제 조명
NICE신용평가 “호세프 대통령의 탄핵…브라질 경제회복에 긍정적이지만 속단은 금물”
사회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속보) 내란특검, 한덕수 전 총리 불구속기소…'비상..
속보) 김건희특검, '집사 게이트' 핵심 인물 김예..
대통령실 "정치적 중립 의무 위반" 이진숙 방통위원..
단독) 만성 요통 방치하면 "척추 디스크 내장증",..
특검 "오늘 김건희 구속 기소…범죄수익 10억3천만..
728조 원 규모 내년 정부 예산안, 국무회의 통과
속보) 이 대통령, '노란봉투법'에 "노동계도 상생..
중부ㆍ호남, 소나기 소식 속 습도와 더위 계속…곳곳..
속보) 코스피, 12.48포인트(▲0.39%) 오른..
채상병 특검, '표적 수사' 의혹 국방부 검찰단 압..
 
최신 인기뉴스
단독)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회의
"대전시당"..
이커머스 전문 기업 "셀업 유니온" 가성비 좋은 자..
속보) 한은 총재 "이론적으로 기준금리 1%p 인하..
김건희와 언론의 '악연'…'여사' 호칭 생략부터 '..
특검 출석한 권성동 "결백하다"…'중식당 회동' 질..
속보) 한덕수 전 총리, 4시간 구속 심사 종료…서..
속보) 레미콘 공장 '질식사고'…고용부·경찰, 순..
속보) 권성동, 특검 출석…"결백하다, 없는 죄 못..
헌정사상 첫 전직 총리 구속심사…한덕수, 혐의 부인..
속보) 코스피 3185.87(▲6.51p, 0.20..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