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인터넷게임광고 자주 접하는 청소년, 인터넷중독 위험성 1.4배 높아져

최영 기자 | 입력 16-10-31 14:31

유용한 뉴스를 공유해보세요.

청소년들이 게임광고를 자주 접하고 더 많이 기억할수록 인터넷중독의 위험성이 1.4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제공: 중독포럼)


중앙대학교 정슬기 교수 연구팀이 발표한 ‘인터넷·게임 중독의 공중보건학적 모델개발 및 폐해실태조사’(보건복지부 정신건강기술개발사업단 연구사업<과제번호: HM14C2622>)에 따르면 인터넷게임광고가 성별·연령 등 인구학적 요인과 충동성·우울·공격성 등의 심리적 요인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도 인터넷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드러났다.

서울과 경기도 지역 청소년 1871명·대학생 509명을 대상으로 한 이번 조사 결과, 청소년은 인터넷 중독군이 6.5%이었으며 대학생은 인터넷중독군이 16.3%로 청소년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인터넷게임중독 선별결과 청소년의 6.1%, 대학생의 18.9%가 중독군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게임광고에 자주 노출됐는가’라는 질문에 청소년 인터넷게임중독군의 86.5%, 대학생 인터넷게임중독군의 81.3%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청소년 인터넷중독군의 38.7%와 인터넷게임중독군의 45.1%가 지난 한 달 동안 10개 이상의 인터넷게임광고를 접했다고 대답했다.

‘인터넷게임광고가 자신의 게임이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한 청소년과 대학생 인터넷게임중독군의 경우는 각각 50.9% 61.5%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국내 모바일 게임업체의 광고비 지출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DMC미디어의 자료에 따르면 2015년 상반기에 국내 모바일 게임업체가 지출한 광고비용은 총 1,185억원으로 2014년 상반기 467억원의 2.5배에 달했다.

이중 지상파 TV 광고에 지출한 비용은 740억원으로, 241억원을 지출한 전년 동기 대비 590%가 증가했다.

 

이는 게임광고가 전 연령대를 대상으로 한 매스마케팅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인터넷중독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인터넷·게임 중독의 공중보건학적 모델개발 및 폐해실태조사’ 중 인터넷게임광고와 게임중독의 상관관계에 대한 결과는 중독포럼 10월 월례세미나에서 발표한다.

이상규 교수는 한국 중학교 학생의 인터넷 위험군이 1년경과에 따른 변화와 그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종단연구 결과를 발표한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기준 시점에서 인터넷 중독위험군이 15.3%에서 12.4%로 유사하였으나, 기준 시점의 인터넷 중독 위험군 중 15.6%는 일 년 후에도 여전히 위험군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준 시점에서 위험군이 아니었던 11.8% 1년 후 고위험군에 해당해 인터넷 중독 위험군에 대한 선별 및 개입은 위험군뿐 아니라 저위험군에서도 일정 수준 이상의 예방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는 결과가 도출됐다.

이재경 교수는 청소년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한 인터넷·게임 중독의 폐해실태조사에서 인터넷게임광고가 인터넷중독에 영향을 끼친다는 결과를 발표한다.

이 조사에 따르면 청소년 인터넷게임중독군의 86.5%와 대학생 인터넷게임중독군의 81.3%가 인터넷게임광고에 자주 노출됐다고 응답했으며, 인터넷게임광고가 자신의 게임이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한 청소년과 대학생 인터넷게임중독군의 경우는 각각 50.9% 61.5%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승엽 교수는 게임장애 진단 등재와 관련된 세계보건기구의 동향에 대한 내용을 발표한다.

 

이미 과도한 게임으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존재하며 이와 관련된 정신행동 및 생물학적 양상이 기존의 중독질환들과 유사한 기전을 보이기 때문에 2018년에 발표될 국제질병분류 ICD-11에서 게임장애를 포함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중독포럼 이해국 상임이사는 “게임산업이 경제성장에 기여한 것은 사실이나 게임사용장애군의 적절한 치료와 게임중독위험군의 중독예방 사업이 시급한 것 역시 받아들여야 하는 현실이다”며 “게임중독은 국제질병분류에 등재될 정도로 보건의학적인 측면에서 명확한 중독이므로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의 문제로 받아들여야 하며 이에 맞게 예방치료사업을 지원하는 법제도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서울 = 중독포럼]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아차, 2016년 임단협 잠정합의
국경없는의사회, ‘굿잡’ 캠페인 실시… 허지웅, 리처드 용재 오닐 등 참여
사회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속보)‘채상병 특검’, 박정훈 대령 ‘항명’ 재판 ..
속보) 내란 특검, ‘체포 명단’ 폭로한 홍장원 소..
속보) 북한, 표류 주민 송환에 경비정 보내 화답…..
속보)‘김건희 특검’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 수사 ..
속보) 국민의힘, 새 혁신위원장에 윤희숙 여의도연구..
속보) 코스피, 8.27포인트(0.27%) 오른 3..
민주당‘내란정당 보조금 차단’ 특별법 발의
속보) 트럼프, "부유한 한국, 방위비 스스로 부담..
속보) 김건희 특검팀, 경찰청 압수수색…업무 협조..
"지역화폐, 국가 재정지원 의무화" 지역화폐법 개정..
 
최신 인기뉴스
속보) 임은정 신임 서울동부지검장 "장의사 역할"
김건희 특검, 원희룡 출국금지·한학자 총재 입건…..
속보) 조은석 내란 특검, 윤석열 전 대통령 구속영..
이재명 정부 첫 민생회복 소비쿠폰, 이달 21일 지..
속보) 특검 "윤석열 전 대통령 구속영장 유출은 중..
속보) 서울중앙지법, 尹 구속영장 심사 9일 2시 ..
속보) 일본 가고시마 도카라 열도, 규모 5.4 지..
윤석열 전 대통령, 내란 특검 2차 조사 14시간 ..
속보) 이재명 정부 첫 고위당정협의회 개최…추경 신..
강선우 여가부 장관 후보자, '쌍방울 쪼개기 후원금..
 
신문사 소개 광고안내 이용약관 개인보호취급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