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용한 뉴스를 공유해보세요.
|
국내 중소기업 인사담당자 811명에게 올해 평균 직원 퇴사율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들의 올 평균 퇴사율은 30.7%로 집계됐다.

(사진제공: 잡코리아)
퇴사가 가장 많았던 직무는(*복수응답) ‘영업직’으로
응답률 37.9%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생산/현장직(34.8%) ▲고객상담/TM(15.7%)
▲디자인직(13.1%) ▲영업관리(11.3%) ▲마케팅(10.0%) ▲기획(9.7%) ▲판매서비스(9.6%) 순으로 회사를 떠난 직원이 많았다.
직원들이 퇴사하는 이유 중에는(*복수응답) ‘업무에
대한 불만’(47.2%)으로 퇴사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연봉에 대한 불만(40.0%)으로 퇴사한 비율도 높았다.
이 외에 ▲높은 업무 스트레스(26.9%) ▲동료 및 상사와의 불화(19.4%) ▲복리후생에 대한 불만(17.3%) ▲기업의 비전 및
사업방향에 대한 불신(16.5%) ▲잦은 야근(15.2%) ▲경력관리를
위해(14.5%) 등의 경우가 많았다.
특히 이직을 통해 연봉을 높이거나 커리어를 강화하는 직장인들이 늘면서 기업에서는 보내고 싶지 않은 핵심인재의 이탈 방지에 기업들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실제, 기업인사담당자 76.7%는 ‘내보내고
싶지 않은 직원이 퇴사한 경우가 있다’고 답했다.
보내고 싶지 않은 직원이 퇴사의사를 밝혔을 때 이를 막기 위한 노력으로 ▲회사의 비전과 개인의 성장가능성 등 미래상을 제시(55.9%)하거나 ▲연봉인상 및 인센티브 등 금전적 보상 강화(42.1%)를
제시해 회유를 했었다고 답했다. 이 외에도 ▲직급 승진 약속(19.6%)
▲장기휴가 및 휴직 대안 제시(19.5%) ▲개인의 역량 강화 기회 제공(4.3%) 등의 대안도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회유책으로 핵심인재의 이탈을 방지했던 경험이 있다는 답변은 54.5%로 절반
정도에 그쳤다.
[서울 = 잡코리아]
|
|
|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
|
|
|
|
|
|
|
|
|
|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 |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