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용한 뉴스를 공유해보세요.
|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남녀직장인 478명을 대상으로 ‘부자의 기준’에 대해 조사했다. ‘ 얼마가 있어야 부자일까?’라는 질문에 전체응답자 평균 ‘32억’으로 집계됐다. 금액 구간별로는 50억(26.2%) 있어야 부자라는 직장인이 가장 많았고, 이어 10억(25.7%) 30억(12.1%) 20억(10.5%) 순으로 많았다.

(사진제공: 잡코리아)
지난해 동일 조사결과(40억 있어야 부자)에 비해
부자의 기준에 대한 눈높이가 많이 낮아진 것이다. 직장인들은 본인의 재산 증식에 가장 방해가 되는 지출비용으로
‘식생활비’를 꼽았다. 엥겔지수(가계 지출 총액 중 식비가
차지하는 비율)가 높아 재산을 모으지 못하는 직장인들이 상당수에 이르는 것으로 보인다.
‘평생 본인은 얼마를 모을 수 있을 것 같은가’ 라는 질문에는 전체응답자 평균 ‘10억’으로
집계됐다. 금액 구간별로는 5억(16.7%), 10억(16.5%)이 가장 많았고, 이어 1억(14.2%) 3억(11.5%), 2억(10.7%) 순으로 많았다.
직장인들이 재산을 모으는 방법 중에는 무조건 현금을 모으는 ‘예/적금’이 응답률 49.2%로 가장 많았으나, ‘복권/로또를
산다’는 직장인도 41.0%로 많았다. 이외에는 ‘이직을
한다(26.4%)’거나 ‘펀드/주식을 한다(14.2%)’는 직장인이 많았다.
‘올해 모으려고 한 목표금액을 다 모았나’ 라는 질문에는 ‘이미 모았다(2.9%)’거나
‘조금 더 모으면 다 모은다(18.2%)’는 응답자는 21.1%에
그쳤고, 78.9%는 ‘못 모을 것 같다’고 답했다.
많은 직장인들이 ‘본인의 재산증식에 가장 방해가 되는 지출비용’으로 ‘식생활비(62.3%)’를
꼽았다.
가계지출 중 식생활비가 차지하는 비율인 엥겔지수가 높아 재산을 모으지 못한다는 응답자가 10명중 6명에 달하는 것이다.
그 외에는 주거비/대출이자/원금상환(33.9%), 의복비(21.1%) 여행/문화생활비(20.9%), 자녀육아/교육비(16.9%) 순으로 높았다
한편 직장인들은 재산을 모으기 위해 가장 도움되는 방법으로 ‘신용카드 사용을 줄이는 것(51.0%)’과
‘자금을 용도별(생활비/저축/경조사비 등)로 관리하는 것(50.8%)’을
꼽았다.
그 외에는 ▲틈틈이 경제기사를 보고 최근 정보를 찾는 것(28.0%)과 ▲부동산/주식 등 투자형 재테크를 조금씩 하는 것(27.6%)과 ▲무조건 안
쓰고 모으는 것(25.3%) 순으로 답했다.
[서울 = 잡코리아]
|
|
|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
|
|
|
|
|
|
|
|
|
|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 |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