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용한 뉴스를 공유해보세요.
|
취업포털 잡코리아(대표이사 윤병준)와 알바몬이 함께
올해 구직활동을 한 취업준생 1,255명을 대상으로 ‘스펙초월 채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사진제공: 잡코리아)
설문에 참여한 취업준비생들에게 ‘스펙초월 채용에 대한 신뢰도’를 질문한 결과, 취업 준비생 66.5%가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스펙초월 채용에 대한 신뢰도가 낮은 이유(*복수응답)로는
‘실무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명확한 기준이 없기 때문에’가 응답률 36.7%로 가장 높았고, ‘어느 정도 기본 스펙은 갖춰져야 지원 자격이 되기 때문에’가 31.2%로
그 뒤를 이었다.
이 외에도 ▲또 다른 스펙을 볼 것 같다(24.8%)거나 ▲평가가 공정하지 않을 것 같다(22.4%) ▲도입한 기업이 많지 않기 때문(9.6%) ▲대외활동을
많이 한 일부에게만 유리할 것 같다(7.9%)는 의견도 있었다.
취업준비생들은 ‘스펙 부족’이 취업에 성공하지 못하는 이유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번 설문에 참여한 취업준비생들에게 지원한 기업으로부터 불합격 통보를 받은 이유(*복수응답)’에 대해 질문한 결과 스펙 부족(40.9%)이 1위에 올랐다.
다음으로 인턴 등 실무경험 부족 때문이란 응답이 32.2%로 뒤를 이었으며 이 외에도 ▲면접에서의
실수(20.2%) ▲자기소개서 내용 부족(19.2%) ▲관련
전공자가 아니어서(17.6%) 등의 의견이 있었다.
‘불합격 통보를 받은 후 취업을 위해 가장 먼저 준비한 것’을 물어보는 질문(*복수응답)에는 ‘토익, 오픽 등 공인어학성적 공부’가 전체 응답률 32.7%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자기소개서 작성 연습(30.8%) ▲면접 연습(28.4%) ▲업무와 관련된 자격증 공부(25.8%) ▲인턴십 등 실무 경험 지원(20.2%) ▲취업 스터디
참여(8.3%) 등의 순이었다.
취업준비생들이 생각하는 ‘가장 적합한 스펙초월 채용 방식’을 질문한 결과 ‘블라인드 평가’가
28.4%로 가장 많았고 ‘스펙 기재란 축소’ 21.2%, ‘실무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전형 도입’이 16.9%로 그 뒤를 이었다.
이 외에도 ▲인턴을 통한 정규직 전환(16.1%)이나 ▲면접 기회 증대(8.8%) 등의 방법이 적합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잡코리아 좋은일 연구소 이재학 소장은 “최근 기업들은 채용 시, 지원자의 역량과 직무 적합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며 “취업준비생들은 무작정 스펙을 높이려고 노력하는 것보다 자신의 능력을 보여줄 수 있는 경험과 스토리를 정리해서 일관성 있게
어필한다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서울 = 잡코리아]
|
|
|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
|
|
|
|
|
|
|
|
|
|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 |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