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십정종합시장특성화첫걸음시장육성사업단, 시장 활성화 위한 업무협약 체결

전미경기자 | 입력 18-12-24 21:10

유용한 뉴스를 공유해보세요.

인천 부평 십정종합시장 활성화와 지역 상생 방안 모색을 위해 부평 문화원, 십정종합시장 상인회, 십정종합시장특성화첫걸음시장육성사업단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십정종합시장특성화첫걸음시장육성사업단(단장 오현교)은 21일 십정종합시장 상인회(회장 이병관), 부평문화원(원장 정진철)과 인천 부평 십정종합시장 활성화와 문화발전을 위한 문화 활성화 협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각 단체는 이번 협약을 통해 △‘십정종합시장 상권 활성화를 위한 사업’과 부평 문화원을 통한 문화사업 발전 △향후 전통시장 관련 정부지원 사업의 협력 부분 사업 △지역사회 상권과 문화 발전에 기여하는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상호 협력과 핵심역량 집중을 통해 가치 창출은 물론 공동의 이익을 도모하는 것이 목표이며, 부평 십정종합시장 상인회는 십정종합시장특성화첫걸음시장육성사업단과 협업하여 기존의 시설 현대화 사업에 그쳤던 시장 활성화사업에서 탈피하여 최근 상인대상 교육을 통해 5대 목표인 지불 편의성, 원산지표시, 청결위생, 화재 및 안전한 시장 만들기 사업과 해충방재, 상품진열 개선을 통해 수요와 공급자 모두의 선호를 한층 높이는 방안을 통해 시장 활성화에 매진하고 있다.

십정종합시장특성화첫걸음시장육성사업단은 이번 협약 체결에 따라 3개 단체 간 교류와 적극적인 협조를 할 수 있게 됐다며 지역문화 사업과 전통시장 활성화를 통한 지역 상생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힘을 모을 것이라고 밝혔으며 더불어 19일에도 한국문화예술법인문화랑(대표 김나희)과도 문화 소외지역에 대한 문화예술지원 프로그램을 위하여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가 있어 이번 협약과 함께 진행될 경우 지역 상생 문화발전에 더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부평문화원은 지방문화원 진흥법에 의거하여 지역문화진흥을 위한 지역문화사업수행을 목적으로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비영리 특별 사회복지 법인으로서 1998년 이후 20년의 시간동안 문화콘텐츠 및 교육 프로그램, 그리고 문화 사업을 통해 지역문화진흥을 위해 힘써온 단체이다.

[서울=십정종합시장특성화첫걸음시장육성사업단]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지역아동센터연합회, 각 당대표에게 서한 전달
환경부,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 개정안 의결
사회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속보) 김건희 특검팀, 경찰청 압수수색…업무 협조..
"지역화폐, 국가 재정지원 의무화" 지역화폐법 개정..
속보) 대통령실, "관세 협상, 국익 관철 더 중..
속보) 김건희 특검, 공천 개입 의혹 동시다발 압수..
속보) 김건희 특검, '공천 개입 의혹' 윤상현 국..
속보) 3만 시민, '박정훈 대령 항소 취하' 특검..
민생회복 소비쿠폰, 어디서 어떻게 쓸까?…헷갈리는 ..
속보) 김건희 특검, '공천개입 의혹' 김영선·김..
속보) 감사원 "이진숙 방통위원장, 정치중립 위반"..
속보) 채상병 특검, 尹정부 안보실 정조준…김태효 ..
 
최신 인기뉴스
속보) 임은정 신임 서울동부지검장 "장의사 역할"
김건희 특검, 원희룡 출국금지·한학자 총재 입건…..
속보) 조은석 내란 특검, 윤석열 전 대통령 구속영..
이재명 정부 첫 민생회복 소비쿠폰, 이달 21일 지..
윤석열 전 대통령, 내란 특검 2차 조사 14시간 ..
속보) 일본 가고시마 도카라 열도, 규모 5.4 지..
속보) 특검 "윤석열 전 대통령 구속영장 유출은 중..
속보) 서울중앙지법, 尹 구속영장 심사 9일 2시 ..
강선우 여가부 장관 후보자, '쌍방울 쪼개기 후원금..
속보) 이재명 정부 첫 고위당정협의회 개최…추경 신..
 
신문사 소개 광고안내 이용약관 개인보호취급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