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LG생활건강, 프로페셔널 단백질 본딩케어 신제품 ‘엘라스틴 바이오본드’ 출시

장기문 기자 | 입력 23-01-25 23:35

유용한 뉴스를 공유해보세요.


생활건강의 국내 시장점유율 1위[1] 샴푸 브랜드 엘라스틴에서 미용실의 손상 클리닉을 받은 것 같은 효과의 단백질 본딩케어 제품인 ‘엘라스틴 실크테라피 바이오본드 17’(이하 바이오본드)을 출시했다.

바이오본드는 31년간 세계 각국 살롱의 노하우를 축적한 미국 프로페셔널 헤어 전문 브랜드 실크테라피와 공동 개발한 제품이다. 일시적인 효과가 아니라 손상된 모발의 근본적 원인 케어에 중점을 두고 차별화된 모발 손상 개선 효과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이 제품은 모발을 구성하는 17가지 아미노산과 동일한 실크 단백질 성분에 바이오미믹(Biomimic) 생체 결합 특허 기술을 적용한 ‘바이오실크 콤플렉스’라는 핵심 성분이 함유돼 있다. 특히 샴푸와 앰플, 트리트먼트는 손상된 모발의 표면 개선과 더불어 단백질 부족으로 힘이 없고 탄력을 잃은 모발을 다시 태어난 듯 건강하게 관리해주는 효과에 집중했다.

바이오본드는 미용실 클리닉의 전 과정과 시간을 축약해 본딩 샴푸(오리지널·리치), 본딩 앰플, 본딩 트리트먼트, 본딩 에센스 등 총 4단계로 구성됐다.

이중 앰플과 트리트먼트는 바이오본드의 핵심 단계로, 모발 속까지 단백질을 침투시키고, 모발 겉 단백질을 결합해 이들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실링 효과를 낸다. 실제 제품 시험에서도 앰플을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 7회 사용으로 단백질 침투가 304.1% 개선[2]됐고, 단 1번 사용만으로도 단백질 결합이 225.5% 개선[3]됐다. 총 9가지의 인체 적용시험[4]을 통해 모발 큐티클, 탄력, 끊어짐 개선 효과도 함께 입증됐다.

잦은 펌과 염색으로 심하게 손상되고 얇아진 모발이 고민인 고객들 사이에서는 사용 후 7일 만에 마치 미용실 클리닉을 받은 듯한 개선 효과를 내는 바이오본드가 벌써 입소문을 타고 있다. 20·40 여성을 대상으로 한 소비자 만족도 조사[5]에서도 조사 대상자 전원이 “힘없고 손상된 모발의 끊어짐 현상이 개선된 느낌이다”, “머리를 빗을 때 걸림이 없을 정도로 모발이 부드러워졌다”는 등의 의견을 내며 주변 지인들에게도 추천하겠다는 의사를 나타냈다.

바이오본드는 GS SHOP을 포함한 온라인몰과 대형마트, 올리브영 등에서 구매할 수 있다.

[서울 : LG생활건강]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U, 업계 최초 대체 계란으로 만든 채식주의 간편식 출시
삼성전자, 14인용 비스포크 식기세척기 신제품 출시
유통NEWS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정은경 복지부 장관 후보자, 배우자 '코로나19 수..
강선우 여가부 장관 후보자, '쌍방울 쪼개기 후원금..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 "부산 시민은 25만 원 필요..
속보) 임은정 신임 서울동부지검장 "장의사 역할"
속보) 조은석 내란 특검, 윤석열 전 대통령 구속영..
속보) 이재명 정부 첫 고위당정협의회 개최…추경 신..
속보) 일본 가고시마 도카라 열도, 규모 5.4 지..
속보) 이준석 의원 제명 청원 60만 명 동의 마감..
속보) 위성락 안보실장, '한미 관세 협상' 등 논..
이재명 정부 첫 민생회복 소비쿠폰, 이달 21일 지..
 
최신 인기뉴스
이재명 대통령 "세종 제2집무실 오랜 약속"
속보) SKT, 유심 정보 유출 피해 위약금 면제 ..
속보) 임은정 검사 "검찰, 변화 없으면 해체에 가..
속보) 이재명 정부 첫 민생회복 소비쿠폰, 이달 2..
정부, 북한 평산 우라늄 공장 폐수 오염 가능성 실..
전·현직 기자 20여 명, 선행매매 혐의로 금융 ..
속보) 순직 해병 특검팀, 김계환 전 사령관 소환…..
메가박스-롯데시네마 합병, 한국 영화산업 30년 지..
속보) 임은정 신임 서울동부지검장 "장의사 역할"
속보) SKT, 해킹 사태 통신사 변경 위약금 면제..
 
신문사 소개 광고안내 이용약관 개인보호취급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