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3년 10월 울산세관 수출입 실적 및 무역수지(통관기준)
○ 수출입 실적 및 무역수지
|
수 출 |
수 입 |
무 역 수 지 |
10월 |
누계 |
10월 |
누계 |
10월 |
누계 |
금액(억불) |
76.1 |
750.4 |
79.2 |
732.0 |
(-)3.1 |
(+)18.4 |
증감
(%) |
전년대비 |
(-)2.8% |
(-)5.3% |
(+)2.9% |
(-)4.2% |
|
|
전월대비 |
(+)2.9% |
|
(+)10.7% |
|
|
|
- (수출) 전년대비 5.3% 감소한 750.4억불, 전국 수출액(4637억불)의 16.1%
- (수입) 전년대비 4.2% 감소한 732.0억불, 전국 수입액(4.280억불)의 17.1%
-(무역수지) ‘13. 10월(당월) 무역수지는 3.1억$ 적자
-(향후 전망) 신흥국 경제성장 둔화 및 환율하락 등으로 수출여건을 낙관 하기는 어려우나, 선진국 경기회복 추세가 이어진다면 자동차 등 수출 증가세가 지속될 것으로 기대
□ 2013년 10월 울산세관 수출입 동향분석
[수출] 자동차?화학제품 수출이 증가한 반면 유류?선박 수출은 감소
- 차량(구성비 27%) : 현대기아차 등 주요 업체의 임금 단체협상으로 감소했던 물량공급이 정상화되면서 전년 동월 대비 11.2%증가 (18.4억$→20.4억$)
- 유류(구성비 33%)ㆍ화학제품(구성비 19%) : 주요 신흥국 경기둔화에 따른 제품수요 감소로 수출물량 및 단가가 하락하여 전년동월대비 유류 14.1% 감소(29.2억$→25.1억$)하였고, 주력제품의 국제가격 상승으로 수출단가가 상승하여 화학제품은 전년동월대비 12.0% 증가(12.8억$→14.3억$)
- 선박(구성비 5%) : ‘08년 이후 지속된 해운 및 조선 경기침체로 인해 전년 동월 대비 선박 20.9%감소(5.2억$→4.1억$)
※ 주요 경제권별 수출 동향 : 전년동월대비 對 호주(31.8%), 미국(4.6%), EU(6.3%)는 증가한 반면 중국(11.9%↓), 일본(21.6%↓)은 감소 |
[수입] 원유?연료유등 수입이 증가한 반면 정광 등 수입은 감소
- 원유(구성비 64%) : 전년 동월대비 도입단가 (114.6$/B→112$/B, 2.3%↓) 하락 및 하반기 정기시설 보수공사로 인해 감소수준을 보였으나, 보수공사 이후 수입량 증가(622만톤→643만톤),수입금액(52.3억$→51.8억$) 0.9% 증가
- 화학제품(구성비 10%)?정광(구성비 7%)?연료유(구성비 6%) : 화공품 및 각종 화학제품의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국내수입 감소로 전년 동월대비 수입량 감소(48만톤→45만톤), 수입금액(625백만$→599백만$) 4.1%감소, 정광은 원재료 가격 상승에 따른 국내수요 감소로 전년 동월대비수입량 감소(32만톤→29만톤),수입금액(737백만 $→548백만 $) 25.7%감소,연료유는 벙커-C유, 자동차 휘발유 등의 수입증가로 전년 동월대비 수입량 증가(24만톤→64만톤),수입금액(515백만$→236백만$) 118.3%증가
- 지역별은 EU(15.3%),미국(5.5%), 일본(2.6%)이 증가한 반면, 호주(20%),중동(5%),중국(1.8%)은감소
[자료제공 :
(www.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