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이 넉 달 만에 다시 서울구치소에 수감된 10일,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 주변은 이례적일 만큼 차분한 분위기 속에서 하루를 시작했다. 지난 1월 첫 구속 당시 수만 명의 지지자들이 몰려들어 밤샘 집회를 열고 구호를 외치던 모습과는 확연히 대조적인 풍경이었다. 법원의 구속영장 발부 결정 이후, 윤 전 대통령의 재수감을 둘러싼 사회적 관심은 여전히 높았지만, 현장의 물리적 충돌이나 격한 반응은 눈에 띄게 줄어든 모습이다.
윤 전 대통령은 전날 밤 9시 반경 법무부 호송차를 타고 구치소에 도착했으며, '구인 피의자 대기실'에서 대기하다 새벽 영장 발부 소식을 접했다. 이후 오늘 오전 중으로 다른 수용자들과 마찬가지의 정식 입소 절차를 밟았다. 교정 당국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은 가운만 걸친 채 정밀 신체검사를 받고 소지품을 영치한 뒤, 갈대색 수용자복으로 갈아입었다. 수용기록부 사진, 이른바 "머그샷" 촬영과 지문 채취도 담담한 표정으로 마친 것으로 전해졌다. 절차가 끝난 뒤 그는 약 10제곱미터(약 3평) 규모의 독방에 수용됐다.
이번 재수감으로 전직 대통령으로서 받아왔던 모든 경호 지원은 즉시 중단됐다. 대신 교정 당국은 전담 교도관을 배치해 그의 수용 생활을 관리, 감독하게 된다. 앞으로 윤 전 대통령은 최장 20일간의 구금 상태에서 특검의 추가 조사를 받게 된다. 당장 오늘 열리는 내란 혐의 관련 재판을 시작으로, 구치소와 법원, 그리고 특검 사무실이 있는 서울고등검찰청을 오가는 고된 일정을 소화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사실 윤 전 대통령의 재수감은 어느 정도 예견된 수순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었다. 지난 3월, 재판부가 "구속 기간 산정 시 '일' 단위가 아닌 '시간' 단위로 계산해야 한다"는 전례 없는 법리를 적용해 그를 석방했을 때부터 법조계 안팎에서는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지시를 받은 부하들은 모두 구속된 상태에서 지시를 내린 최고 책임자만 자유의 몸으로 거리를 활보하는 기묘한 상황이 넉 달간 이어졌다. 석방 기간 동안 윤 전 대통령은 부정선거 음모론을 다룬 영화 상영관을 찾거나 한강공원을 산책하는 등 공개적인 활동을 이어갔지만, 경찰의 출석 요구에는 일절 응하지 않으며 수사를 비웃는 듯한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이러한 상황은 결국 넉 달 만에 막을 내렸다. 하지만 그의 재수감을 둘러싼 지지층의 반응은 과거와는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 어제 영장실질심사가 열린 서울중앙지방법원 앞에는 2천 명의 집회가 신고됐으나, 실제 모인 인원은 수백 명에 그쳐 곳곳에 빈자리가 보일 정도였다. 지난 1월 수만 명이 운집해 "탄핵 무효"를 외치던 기세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구속영장 발부 소식이 전해진 서울구치소 앞 역시 수십 명의 지지자들이 잠시 격앙된 반응을 보였을 뿐, 이내 흩어져 예전과 같은 대규모 충돌은 발생하지 않았다. 이는 반복되는 사법 리스크와 명분 없는 정치적 행보에 대한 지지층의 피로감이 반영된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제 법의 심판대에 다시 선 윤 전 대통령이 어떤 법적 판단을 받게 될지, 그리고 위축된 지지세가 향후 재판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