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국정농단' 의혹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을 일단 보류하기로 했다. 특검팀은 내일(6일)로 예정된 김건희 여사의 첫 공개 소환 조사를 앞두고, 수사력을 김 여사에게 집중하기 위해 이같이 결정했다고 5일 밝혔다.
특검팀 관계자는 이날 오전 "내일 김건희 여사 소환 전까지는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을 집행할 계획이 없다"며 "윤 전 대통령 변호인과 관련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는 내일 김 여사의 소환 및 조사를 차질 없이 진행하는 것을 최우선 순위로 삼겠다는 전략적 판단으로 풀이된다. 만약 김 여사 소환을 앞두고 윤 전 대통령의 체포를 재차 시도할 경우, 구치소 앞에서의 물리적 충돌이나 정치적 논란이 불거져 수사의 본질이 흐려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앞서 특검팀은 지난 1일, 수사팀을 서울구치소로 보내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을 시도했으나 본인의 완강한 거부로 무산된 바 있다. 당시 윤 전 대통령은 수의 착용을 거부하고 바닥에 눕는 방식으로 저항했으며, 특검은 "피의자의 완강한 거부로 영장 집행이 불가능했다"고 밝혔다. 이처럼 한 차례 실패를 겪은 만큼, 특검은 재집행 시기와 방법에 대해 더욱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특검팀은 영장 집행 의지 자체는 변함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특검 관계자는 "정당하게 발부된 영장을 집행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며 "필요하다면 물리력을 동원한 강제 집행도 검토하고 있다"고 여러 차례 강조해왔다. 이는 과거 윤 전 대통령이 검찰총장 시절 국정농단 사건의 피의자였던 최순실 씨 등을 강제 구인했던 전례를 언급하며,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것이다.
이제 모든 시선은 내일 특검 사무실에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낼 김건희 여사에게로 향하고 있다. 특검은 김 여사에 대한 조사를 마친 뒤, 그의 진술 내용과 태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재집행 시점과 방식을 최종적으로 결정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