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미국 "투자 수익 90% 내놓으라"… 관세협상에 노동자 구금 '악재'까지

백설화 선임기자 | 입력 25-09-14 10:00



한미 관세 협상 후속 조율을 위한 양국 산업장관의 뉴욕 회동이 뚜렷한 성과 없이 끝난 가운데, 미국이 외교적 수사를 넘어 실질적인 압박 강도를 높이고 있다. 미국은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방식을 두고 "일본 모델"을 따르라며 최후통첩성 발언을 쏟아내는 데 이어, 미국 내 한국 기업 소속 노동자들을 무더기로 구금하는 사태까지 벌어지며 협상 테이블 밖에서도 전방위적인 압박을 가하는 모양새다.

협상의 가장 큰 걸림돌은 미국이 일본과 맺은 계약을 기준으로 한국에 유사한 조건을 요구하고 있다는 점이다.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은 "유연성은 없다"고 못 박으며 "한국은 협정을 수용하거나 관세를 내야 한다"고 공개적으로 압박했다. 미국이 제시하는 일본 모델의 핵심은 투자 수익 배분 방식이다. 일본은 5,500억 달러의 투자 원금을 회수하기 전까지는 수익을 미국과 절반씩 나누고, 원금 회수 후에는 수익의 90%를 미국이 가져가는 조건에 합의했다. 또한 미국이 투자처를 지정하면 45일 내에 자금을 집행해야 한다는 독소조항까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 정부는 이러한 요구가 자국의 경제 현실을 완전히 무시한 처사라며 난색을 보이고 있다. 일본 외환보유액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한 한국이 비슷한 규모와 방식의 투자를 집행할 경우, 국가 경제의 근간을 흔드는 외환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또한 정부 보증하에 민간 기업이 투자를 주도하는 방식을 선호하는 우리와 달리, 미국은 정부의 직접 투자를 요구하고 있어 구조적인 시각차도 뚜렷하다. 이재명 대통령 역시 "합리적이고 공정한 협상을 하려다 보니 어렵다"며 미국의 일방적인 요구를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처럼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진 가운데, 미국 정부가 조지아주에 진출한 우리 기업 소속 노동자들을 비자 문제로 대거 구금하는 사태가 발생하며 상황은 더욱 악화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법 집행을 넘어,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기 위한 압박 카드로 활용하려는 의도가 깔렸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협상 테이블 안팎에서 조여오는 미국의 압박에 맞서, 국익을 지키기 위한 우리 정부의 외교적 해법 마련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음기사글이 없습니다.
미국, '관세 복원' 카드 꺼내며 전방위 압박…한미 통상 현안 '빨간불'
국제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생후 1개월 아들 살해 후 야산에…30대 친부 자수..
가을 문턱에 다시 찾아온 '무더위'…남부 중심 약한..
법원장들, 사법개혁 '조건부 찬성'…대법관 증원 등..
미국 "투자 수익 90% 내놓으라"…
관세협상..
정청래, 법원 향해 "사법개혁은 자업자득"…과거 판..
안산 공장서 '폭탄'처럼 솟구친 설비… 점검하던 4..
민주당 지도부 균열에 김병기, 특검법 개정 합의 논..
도심 속 버스정류장 덮친 승용차… 평온한 오후의 아..
KT 소액결제 대란, '가짜 기지국' 너머 진짜 유..
'미국 억류' 국민 316명 전원 귀국…정부, "송..
 
최신 인기뉴스
정동원, 무면허 운전 혐의... "2억 협박" 사건..
"가격은 그대로, 양은 200g 쏙"... 교촌치킨..
하루 새 육군·공군서 터진 훈련용 화기… 장병·..
속보) 권성동 체포 동의안 가결…
권 의원 "..
이재명 대통령 취임 100일, "통합의 정치로 국익..
트럼프 "숙련 인력이니 미국인 훈련시켜라"…대통령 ..
2차 소비쿠폰, 고액자산가 92만 가구 제외… "선..
단독) 법원, "시체팔이" 막말 김미나 의원에
'강남역 교제 살인' 의대생, 징역 30년 확정… ..
속보) 코스피, 사상 최고치 경신... 증시 새 역..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