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의 최신 스마트폰 갤럭시S5가 27일 전격 출시됐다. 이는 당초 일정보다 보름정도 앞당겨진 것이다. 이로써 갤럭시S5의 글로벌 동시 출시는 파행이 불가피해 졌다. 삼성전자는 다음 달 11일 공식 출시할 계획이었다. 고 후와이어드가 보도했다.
SK텔레콤은 이날 오후부터 삼성전자의 전략 스마트폰 갤럭시S5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출고가는 86만 6800원. 현재 불법 보조금 경쟁에 대한 제재조치로 영업정지 중인 KT와 LG유플러스(U+)도 이날 갤럭시S5를 내놨다.
SK텔레콤은 "상반기 최고 기대작 중 하나인 갤럭시 S5를 최초로 출시함에 따라 가입자 확보에 청신호가 켜졌다"고 언급했다. KT와 LG유플러스는 현재 영업정지 상태여서 SK텔레콤에서만 유일하게 신규·번호이동·기기변경으로 갤럭시S5 개통이 가능하기 때문.
KT와 LG유플러스는 영업정지 기간에 신규가입이나 번호이동 가입은 받지 못하지만 분실·파손 제품 또는 2년 이상 사용한 제품에 대한 기기변경으로 갤럭시S5를 판매한다. 양사는 영업정지가 풀리는 대로 갤럭시S5를 이용해 신규·번호이동 고객을 적극적으로 모집할 계획이다. LG유플러스의 영업정지는 다음 달 5일에, KT의 영업정지는 다음 달 27일에 풀린다.
SK텔레콤의 단독 조기출시와 관련해 삼성전자 측은 "이번 조기 출시는 SK텔레콤이 일방적으로 결정한 것으로 당황스럽다"며 "이번 결정에 대해 유감이다"라고 공식 입장을 전했다.
앞서 26일 신종균 삼성전자 대표는 갤럭시S5의 국내 출시 일정이 앞당겨지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아니다"라고 답한 바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 25일부터 출시 전 사전 마케팅을 위해 이동통신사에 갤럭시S5 일부 초도 물량을 제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는 이통사들이 해당 일부 단말기로 출시를 강행했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당초 업계의 예상보다 일찍 갤럭시S5가 시장에 나오게 되면서 삼성전자가 당초 공언했던 다음 달 11일 글로벌 출시도 어긋날 공산이 커졌다는 것이다. 실제 미국과 유럽 등의 주요 이동통신사들도 갤럭시S5 초기 공급 물량을 확보했을 경우 SK텔레콤과 비슷한 행보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