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2022 보호자 게임리터러시 교육 온라인 실시 “게임의 이해로 가정 내 게임문화 충돌 해소 첫걸음”

김미영 기자 | 입력 22-08-31 23:50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콘텐츠진흥원, 게임문화재단(이하 재단)은 자녀와의 소통 및 이해 증진을 위해 9월 13일부터 11월 3일까지 ‘2022년 보호자 게임리터러시 교육-온라인 릴레이 교육’(이하 ‘교육’이라 함)을 실시한다.

이 교육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심각해지는 가정 내 게임 문화 충돌을 해결하고, 게임을 통해 자녀와 소통하는 슬기로운 게임 지도법을 안내한다. 또한 물리적 접촉을 지양하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맞춰 비대면으로 소통하며 게임 문화를 즐기는 방법도 함께 제시한다.

교육 프로그램은 △인문사회(새 시대, 새로운 예술로서의 게임 이해하기, 메타인지를 통한 게임 다시보기) △게임문화 이해·인식(게임문화 인식 개선 및 자녀의 게임문화 이해) △게임이용(자녀의 게임 이용 지도 및 부모의 올바른 태도) △적성/진로(게임 관련 학과 진학 및 진로 설정) △게임 과몰입(문화예술 치유프로그램, 올바른 온라인 생활습관) 등의 콘텐츠로, 각 분야의 전문가를 초청해 전문성 있는 강의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 교육은 온라인 플랫폼 줌(Zoom)을 이용해 15회차로 운영되며 스마트폰, PC만 있다면 전국 어디에서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교육에 참여를 희망하는 성인이라면 온오프믹스에서 ‘보호자 게임리터러시 강연’을 선택 후 신청하면 된다.

또한 재단은 ‘보호자 게임리터러시 교육’ 정보 전달과 교육 신청을 위한 ‘게임리터러시 홈페이지’를 새로 개설했다. 해당 홈페이지에서는 교육의 상세 내용과 교육 관련 자료 및 공지 사항과 교육 결과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교육 강연 연계 및 연계를 희망하는 관련 기관은 홈페이지 상단의 ‘강연 신청’ 탭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유선전화로 문의하면 된다.

한편 재단에서는 △찾아가는 게임문화교실 △보호자 게임리터러시 교육 △게임문화 가족캠프 △게임과몰입힐링센터 프로그램 지원 △게임시간 선택제 운영 등 올바른 게임문화 확산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재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서울 : 게임문화재단]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문화체육관광부, 2022 공유저작물 및 오픈소스SW 라이선스 콘퍼런스 성황리 개최
서울청소년문화교류센터, 아시아 평화·공존 주제로 ‘청소년 쇼츠 영상 공모전’ 개최
사회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특검 출석한 권성동 "결백하다"…'중식당 회동' 질..
속보) 한덕수 전 총리, 4시간 구속 심사 종료…서..
속보) '오송 참사' 진상규명 길 열렸다…국회, 국..
김건희와 언론의 '악연'…'여사' 호칭 생략부터 '..
속보) 김건희 특검, '당원명부' 확보 위해 "국민..
헌정사상 첫 전직 총리 구속심사…한덕수, 혐의 부인..
단독)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회의
"대전시당"..
다시 찾아온 폭염…서울 낮 34도, 주말엔 또 비
속보) 경찰, '차명 주식 의혹' 이춘석 의원실 압..
속보) 권성동, 특검 출석…"결백하다, 없는 죄 못..
 
최신 인기뉴스
단독)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회의
"대전시당"..
이커머스 전문 기업 "셀업 유니온" 가성비 좋은 자..
부산 사상공단 공장서 LPG 폭발…2명 중상·초등..
단독) 故 노무현 대통령 참배 "조국 눈물"
이재명 대통령 "한반도 평화·비핵화 위해 긴밀 협..
'9월 재혼' 김병만, 이혼 심경 첫 고백…"전처에..
속보) '주주 이익 보호' 명문화... 이사의 충실..
수도권 기습 폭우…밤사이 중부지방 시간당 50mm ..
속보) 김건희, 4차 소환조사서도 '묵비권'…특검 ..
"동맹의 새 시험대"... 한ㆍ미, 워싱턴서 첫 정..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