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동맹, 中 거부 전략에 더 큰 책임져야"…美, 韓日 역할 분담 압박

이태석 기자 | 입력 25-10-08 23:53



미국 국방부가 중국의 군사적 팽창을 최우선 안보 위협으로 규정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거부 전략(A strategy of denial)'의 성공을 위해 동맹국들의 책임 있는 역할과 국방비 증액을 강력히 요구하고 나섰다. 특히 중국의 서해 활동이 한국에 대한 직접적 위협이라는 점을 명시하며, 한미 동맹의 역량이 대중국 억제에 기여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해 향후 한국의 외교안보적 부담이 가중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현지시간으로 7일, 미 상원 군사위원회 인준청문회에 출석한 제디디아 로열(Jedidiah P. Royal) 국방부 인도·태평양 안보 담당 차관보 지명자는 미국의 대중국 안보 전략의 핵심을 동맹과의 연대에 기반한 집단 안보 체제 강화에 두었다. 그는 "중국에 대한 미국의 '거부 전략'은 동맹국들이 자국 방위에 더 큰 책임을 질 것을 요구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이는 인도·태평양 지역의 동맹국들이 국방 예산을 대폭 늘리고, 중국의 군사적 야망을 효과적으로 좌절시킬 수 있는 비대칭 전력 확보에 우선순위를 두어야 함을 의미한다고 그는 덧붙였다.

로열 지명자는 특히 중국의 잠정조치수역 내 무단 구조물 설치와 같은 서해에서의 활동들이 명백히 "한국을 위협하는 데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한미 동맹의 많은 역량이 대중국 억제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발언은 북한의 위협에 초점을 맞춰온 한미 동맹의 역할이 중국의 역내 패권 추구를 억제하는 방향으로 확장되어야 한다는 미국의 입장을 재확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미국의 입장은 중국의 군사적 위협이 현실화될 경우, 한국과 일본이 대만 해협 등 분쟁 지역에서 일정 부분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압박으로 이어질 수 있다. 중국과의 경제적 관계 등을 고려할 때, 미국의 강화된 동맹 역할 요구는 한국 정부에 상당한 외교적 딜레마를 안겨줄 수 있다는 분석이다. 결국 미국의 대중국 견제 구상에 깊숙이 편입될수록 중국과의 관계 설정이 더욱 복잡해질 수밖에 없어, 우리 정부의 전략적 고심이 깊어질 전망이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대통령, "이스라엘 나포 국민 석방에
외교 역량 총동원" 지시
"분자 건축술로 새 지평"…2025 노벨화학상에 '금속-유기 골격체' 개척자 3인
정치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전남도 7급 공무원 숨진 채 발견…“검찰 압박 못 ..
채 상병·내란·김건희 특검, 주말·휴일에도 잇..
이재명 대통령, 문화체육비서관에 이동연 한예종 교수..
휴일 전국 흐리고 강원 영동 비…낮 최고 28도
캄보디아서 한국인 대학생 피살…중국인 3명 기소, ..
현직 경찰병원장, 추석 연휴 음주운전 사고 후 미조..
속보)‘중국인 3대 쇼핑 방지법’ 놓고 여야 정면 ..
스테이블코인 확산에 금융권 긴장…‘코인런’ 리스크 ..
이명박 전 대통령 4대강 사업은 운하 전 단계였다"..
트럼프 서명한 ‘지니어스법’, 스테이블코인 제도권 ..
 
최신 인기뉴스
단독) 한국미디어일보 "올해의 기업인 최우수상" 셀..
세종시 인구 감소세 전환, 행정수도 정책 불확실성이..
김민석 총리 “왜 그렇게 어리석나” 발언, 서울시 ..
가자행 구호선단 나포된 한국인 김아현, 이틀 만에 ..
이 대통령, "이스라엘 나포 국민 석방에
외..
트럼프 “시진핑 회담 여부 불투명하지만 APEC 참..
'가짜 영수증'으로 세금 빼돌린 기부단체들…수백억 ..
금값, 온스당 4,000달러 돌파…글로벌 불확실성에..
속보) 코스피, 장중 3600선 첫 돌파…반도체 훈..
최태원·노소영 ‘세기의 이혼’ 대법원 결론 임박…..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