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직장인이 가장 바라는 복지 1위 ‘보너스’

최영 기자 | 입력 15-09-09 21:54

직장인 2명중 1명(50.4%)은 현재 일하는 기업의 ‘복지제도’에 대해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한다’고 답한 직장인은 11.7%로 10명중 1명에 그쳤다.

취업포털 잡코리아(www.jobkorea.co.kr)가 직장인(1484명)과 취업준비생(1319명)을 대상으로 <내가 바라는 복지제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 드러난 사실이다.

직장인들은 현재 직장의 직원 복지제도 중 가장 많이 운영하는 제도로 ▲연월차 지급(45.4%) ▲명절 상여금 지급(39.8%) ▲식사비 제공(32.8%) ▲경조사비/휴가 지원(29.1%) ▲여름휴가비 지원 28.3% 순으로 많다고 답했다.

반면 ▲사내 북카페를 구비(2.6%)하거나 ▲직원의 스트레스 관리를 위해 심리상담 등을 지원 (3.1%)하거나 ▲직원 어린이집을 운영(3.4%)하는 직장인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직장인들이 뽑은 가장 유명무실한 복지제도로 ‘연월차 지급’(11.4%)이 1위로 드러났다.

바쁜 업무로 휴가를 자유롭게 사용하지 못하는 직장인들이 많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다음으로 ‘남성직원의 자녀출산 휴가’(11.3%)와 남성 직원의 장기 육아휴직(10.4%)도 유명무실한 복지제도로 꼽혔다.

직원 복지제도에 대한 불만은 직장인들의 만족도를 떨어뜨려 이직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실제 ‘사내복지제도나 근무환경에 대한 불만 때문에 퇴사(이직)한 경험이 있는가’ 조사한 결과 과반수이상인 56.1%의 직장인들이 ‘있다’고 답했다.

또 취업준비생을 대상으로 ‘사내 복지제도나 근무환경에 대한 동경으로 입사지원한 경험이 있는가’ 조사한 결과, 57.1%가 ‘있다’고 답했다.

직장인과 취업준비생들은 직장에서 어떤 직원복지제도를 선호할까?

‘가장 누리고 싶은 직원 복지제도는 무엇인가?’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정기보너스’가 응답률 36.2%로 1위로 조사됐고 이어 식사제공(조식,중식,석식)이 35.3%로 2위로 집계됐다.

다음으로는 ▲연월차 지급 21.8% ▲인센티브제 도입 15.2% ▲자기계발비 지원 15.1% ▲본인 교육비/학비 지원 13.0% ▲여성직원 장기 육아휴직(11.8%) ▲저금리 직원대출 (10.4%) 순으로 높았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규직 전환지원금 지원율 인상 및 간접노무비 신설
남녀 대학생이 가장 취업하고 싶어 하는 기업 1위 ‘삼성전자’와 ‘CJ제일제당’
기업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특검, "대통령실, 체코 언론 '김건희 사기꾼' 기..
속보) 김건희 여사 법률대리인단,
"통일교 ..
속보) 코스피 'AI 쇼크'에 4000선 붕괴.....
정부, 역대 최대 728조 "AI 시대 첫 예산" ..
엔비디아 '블랙웰' 한국 공급 약속, 트럼프 "미국..
칼럼) 65세까지 일해야 하는 시대가 다가오고 있..
추경호 영장 발부되면 국힘 치명타…권성동과는 차원 ..
北, 내년 3월 대규모 열병식 개최 검토…트럼프 대..
민주당, 정년 65세 연내 입법 추진…“소득 공백 ..
이재명 정부, 728조 원 ‘AI 시대 첫 예산’ ..
 
최신 인기뉴스
세종 국가상징구역, ‘완성형 행정수도’로…대법원·..
역대 최대 10월 수출액 달성, 무역수지 흑자 행진..
미-중 무역 합의 발효 임박, 한화오션 美 자회사 ..
오타니 쇼헤이, 월드시리즈 MVP 야마모토 극찬 "..
한국-중국, 초국가 범죄 척결 위해 경찰·공안 '..
한중, 11년 만의 국빈 방한으로 한중 관계 새 장..
대한민국-싱가포르, "전략적 동반자 관계" 격상....
김선규 전 공수처장 직무대행, "채상병 사건 수사 ..
경기도교육청 372억 "고3 사회진출 예산", 연말..
더불어민주당, '재판중지법' 당론 추진 본격화 선언..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