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티모넷, 모바일 티머니 서비스 개시 9년만에 가입자 600만명 돌파

최종호 기자 | 입력 15-10-26 19:53

  모바일 교통카드 결제(Mobile Payment)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한 모바일 결제 솔루션 전문기업 ㈜티모넷(대표이사 박진우, www.t-monet.co.kr)이 한국스마트카드와 공동으로 서비스하는 ‘모바일 티머니’ 서비스 가입자가 출시 9년만에 600만 명을 돌파했다고 21일 밝혔다.  
 


한국스마트카드의 모바일티머니 서비스는 티모넷의 충전·결제 등 모바일 관련 기술이 적용된 교통카드 ‘티머니’를 모바일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서비스이다. 2007년 출시된 이후 가입자 수가 증가하면서 2012년 월간 충전액 100억 원을 돌파한 데 이어 올해 들어서는 400억 원(2015년 9월 말 기준)을 기록하는 등 연평균 30% 이상의 가파른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
 
그동안 모바일 티머니는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주로 버스나 지하철, 택시 등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활발하게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간편결제와 핀테크 기술이 대중화되면서 모바일티머니의 사용 범위도 온·오프라인으로 점차 확대되었으며, 사용층 역시 10~50대까지 다양한 계층으로 확대되었다.
 
특히 10대 청소년, 대학생, 외국인 등 신용카드 발급이 어려운 금융 소외계층 등에서 현금과 신용카드를 대체하는 결제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번거로운 인증절차를 거쳐야 하는 신용카드와 달리 스마트폰의 모바일 티머니 앱을 통해 인증 절차 없이 즉시 충전 및 결제가 가능해 편리해서다.
 
이에 모바일 티머니는 이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온·오프라인 결제처와 제휴를 맺고 사용처를 확대하고 있다. 현재 모바일 티머니는 편의점, 대형마트, 카페, 패스트푸드 등 오프라인에서부터 티몬, 11번가, G마켓, 알라딘, T스토어, 인터파크, 교보문고, 넥슨 등 온라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결제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
 
티모넷 박진우 대표는 “티모넷은 2007년 모바일 티머니 서비스를 시작으로 성장을 거듭해왔다.”고 말하며 “모바일 안정성과 편리함을 앞세워 가입자 1천만 시대를 열겠다”고 말했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 지방세 납부 카카오페이·앱카드로 간편결제 가능
웨어러블 결제 2020년 5,000억 달러 상회 전망
금융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특검, "대통령실, 체코 언론 '김건희 사기꾼' 기..
속보) 김건희 여사 법률대리인단,
"통일교 ..
속보) 코스피 'AI 쇼크'에 4000선 붕괴.....
정부, 역대 최대 728조 "AI 시대 첫 예산" ..
엔비디아 '블랙웰' 한국 공급 약속, 트럼프 "미국..
칼럼) 65세까지 일해야 하는 시대가 다가오고 있..
추경호 영장 발부되면 국힘 치명타…권성동과는 차원 ..
北, 내년 3월 대규모 열병식 개최 검토…트럼프 대..
민주당, 정년 65세 연내 입법 추진…“소득 공백 ..
이재명 정부, 728조 원 ‘AI 시대 첫 예산’ ..
 
최신 인기뉴스
세종 국가상징구역, ‘완성형 행정수도’로…대법원·..
역대 최대 10월 수출액 달성, 무역수지 흑자 행진..
미-중 무역 합의 발효 임박, 한화오션 美 자회사 ..
오타니 쇼헤이, 월드시리즈 MVP 야마모토 극찬 "..
한국-중국, 초국가 범죄 척결 위해 경찰·공안 '..
한중, 11년 만의 국빈 방한으로 한중 관계 새 장..
대한민국-싱가포르, "전략적 동반자 관계" 격상....
김선규 전 공수처장 직무대행, "채상병 사건 수사 ..
경기도교육청 372억 "고3 사회진출 예산", 연말..
더불어민주당, '재판중지법' 당론 추진 본격화 선언..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