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ㆍ유통 오피니언 의료
 

 

KT, 5년 이내 최대 영업이익 1조4,400억원 달성

최영 기자 | 승인 17-02-01 14:50

유용한 뉴스를 공유해보세요.

KT(회장 황창규)는 연결 기준 2016년 매출 227,437억원, 영업이익 14,400억원을 기록했다고 1일 밝혔다.

 

전체 매출은 무선, 인터넷, IPTV 등 주력 사업에서 우량 가입자 확대에 힘입어 전년 대비 2.1% 증가했다. 특히 2011년 국제회계기준(IFRS)을 도입한 이래 최초로 KT의 서비스매출이 20조원을 넘어섰다.

KT는 안정적인 성장세가 비용 혁신을 통해 확보한 비용으로 고객 서비스를 대폭 개선하고 높아진 고객 만족이 실적 향상을 견인하는 ‘선순환 구조’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했다. 선순환 구조가 자리를 잡으면서 KT의 지난해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은 2015년과 비교해 모두 상승했다.


영업이익은 매출 확대와 함께 그동안 지속 추진한 비용 혁신의 결과 전년 대비 11.4% 늘어나는 성과를 거뒀다. KT의 연간 영업이익 14,400억원은 2011년 이후 최대 수치다. 전체 순이익은 7,978억원으로 전년 대비 26.4% 증가했다.

무선사업 매출은 전년 대비 0.6% 증가한 74,183억원을 올렸다. 무선서비스 매출의 경우 LTE 보급률이 75.5%(2016 4분기 기준)까지 확대되고 Y24, Y틴과 같은 특화 요금제가 인기를 끌면서 전년 대비 2.1% 증가한 66,584억원을 기록했다. 전년과 비교해 전체 무선 가입자는 85만명 늘어난 1,890만명을 확보했다.

유선사업 매출은 유선전화 이용 감소로 인해 전년 대비 1.8% 줄어든 5649억원을 기록했다. 하지만 괄목할 속도로 가입자가 증가한 ‘기가(GiGA) 인터넷’의 영향으로 유선사업 매출 감소세가 눈에 띄게 둔화됐다. 참고로 2015년 유선사업 매출은 2014년 대비 6.9% 하락했다.

기가 인터넷의 성장에 힘입어 인터넷사업의 매출은 2015 2분기 이후 16개월(6분기)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며 전년 대비 11.4% 성장했다. 품질, 커버리지, 브랜드 인지도 등에서 경쟁사를 압도하고 있는 KT 기가 인터넷은 현재 250만 이상의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다.

미디어·콘텐츠사업 매출은 전년 대비 15.8% 증가한 19,252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국내 1 IPTV’라는 위상에 걸맞은 올레TV의 뛰어난 사용환경(UI) 및 사용경험(UX)과 함께 이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콘텐츠를 적절히 제공했던 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우량 가입자 확대, 유료시청(PPV) 수익 증가와 함께 광고, 홈쇼핑 송출수수료 등 플랫폼 수익 증대도 미디어·콘텐트사업 매출 성장에 기여했다.

국내 최다 가입자를 보유한 IPTV 분야의 매출은 전체 가입자 700만 돌파에 힘입어 전년 대비 23.9% 성장하는 실적을 거뒀다. 2016년 매출 1조원을 돌파한 IPTV 분야는 2017년부터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KT가 세계 최초로 선보인 인공지능 TV ‘기가 지니’는 미디어 분야의 매출 증대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혁신적 기가 인프라와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ICT 융합기술이 결합한 기가 지니는 홈 비서, IoT 허브와 더불어 똑똑한 멀티미디어 제어로 IPTV를 이용하는 패턴마저도 변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금융사업 매출은 소액결제 활성화 등 카드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BC카드 매출이 늘어 전년 대비 0.5% 성장한 34,278억원을 기록했다. 기타서비스 매출은 부동산 및 기타 자회사의 사업 호조로 전년 대비 13.6% 증가한 21,709억원을 올렸다.

2016
년 한 해 동안 BC카드를 비롯한 그룹사들의 연결 영업이익 기여는 전체의 4분의 1 수준인 약 3,400억원(부동산 매각 388억원 제외)이었다.

2017
년에는 BC카드, 스카이라이프 등 주요 그룹사의 안정적인 성장과 함께 KT에스테이트 등 부동산 관련 매출과 같은 신규 실적으로 지난해보다 17% 이상 상승한 연간 약 4,000억원의 영업이익 기여를 목표로 하고 있다. 올해 국내 1호 인터넷전문은행으로 영업을 개시하는 ‘케이뱅크(K bank)’는 금융과 핀테크를 접목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제시로 그룹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미래융합 및 플랫폼 사업에서는 지난해 중요한 계기를 만들었다. 2016 3, 국내 최초 LTE-M 전국망을 상용화한 것에 이어 KT 기가 IoT 얼라이언스 회원사와 협력 강화를 기폭제로 스마트 미터링(원격검침), 스마트 혈액박스와 같은 새로운 사업모델을 선보이며 소물인터넷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했다.

올해는 에너지 및 보안 사업을 공격적으로 추진하는 한편 인증, 결제, IoT 등 핵심 플랫폼의 사업을 보다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기가 와이어 등 차별화된 솔루션의 해외 수출을 적극 추진하고 글로벌 ICT 사업개발 등을 통해 신사업에서 연간 매출 1조원 달성을 목표로 세웠다.

KT CFO
신광석 전무는 “지난해 ‘고객인식 1등’ 달성과 주요 사업에서 ‘한계 돌파’을 위해 노력한 결과 2년 연속 영업이익 1조 클럽을 기록하는 등 지속성장을 위한 기반을 한층 다질 수 있었다”며 “올해는 새로운 시각으로 핵심 사업과 미래 사업에 도전해 질적 성장을 고도화하는 한편 비용 혁신을 체계화하는 등 한 차원 높은 성과를 올리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성남 = KT]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삼성전자, 미국 하만 100% 보유 인수 완료
SK, 올해 17조 투자하고 8200명 채용 계획 밝혀
기업 기사목록 보기
 
인기뉴스
의료칼럼) "이병직 한의사 한의계 거목" 지역사회 ..
속보) 윤석열 전 대통령 사저 압수수색…명품 수수 ..
속보) SK텔레콤 유심 해킹 개인정보 유출…경찰, ..
속보) 윤석열 전 대통령, 12∙3 비상..
대법원, 이재명 후보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판결 T..
 
최신 인기뉴스
속보) SKT,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자 1천991만 ..
공공기관장 48명 신규 임명… 정권교체기 보은성·..
정치칼럼) 대선 29일 "대한민국 turning p..
황금연휴 둘째 날, 맑은 날씨 속 나들이객 북적… ..
SKT, 유심 교체 100만 명 돌파, 대리점 신규..
 
회사소개 광고안내 이용약관 개인보호취급방침 이메일수집거부 기사제보 구독신청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