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ㆍ유통 오피니언 의료
 

 

공인인증서 문제해결을 위한 이용자모임 “공인인증제도 폐지해야”

최영 기자 | 승인 17-04-25 14:03

유용한 뉴스를 공유해보세요.

4월 10일 ‘공인인증서 문제해결을 위한 이용자모임(이하 이용자모임)’이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공인인증서 및 본인확인 정책에 대한 2차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 중 이용자모임은 앞서 각 정당별 대선 후보에게 보낸 공개질의서의 회신 내용도 함께 공개했다.

질의서를 회신한 3개 정당 후보(더불어민주당 문재인, 국민의당 안철수, 정의당 심상정)는 공통적으로 정부주도의 경직된 공인인증서 및 본인확인 정책이 시장 경쟁을 통한 혁신적 기술 발전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점에 동의하고 전자서명 및 전자금융거래법령 등의 개정이 필요하다는 데 동의했다.

구체적으로 문재인 후보 측은 모든 인증수단이 차별 없이 경쟁할 수 있도록 공인인증제도를 폐지하고 전자금융거래법을 개정하여 공인인증서 사용을 이유로 금융회사가 부당 면책을 방지하며 정보통신망법상 본인확인기관제도를 폐지하겠다고 밝혔다.

안철수 후보 측은 공인인증기관 및 공인인증제도를 정부가 지정하지 않으며 국제표준에 기초한 금융거래 보안기술 평가점수를 부여하여 보안 부실을 방지하는 한편 액티브 엑스 등 비표준 기술에 대한 대체기술 개발지원을 공약했다.

또한 은행, 카드사 등이 인증/보안기술을 자율적으로 선택하도록 하고 다양한 보안기술이 국제수준으로 진일보하도록 경쟁 환경 조성하겠다고 밝히면서 보안기술 시장을 중소기업 적합 업종으로 지정하겠다는 공약을 밝혔다.

심상정 후보 측은 액티브엑스 등 비표준 기술을 없애고 웹표준 도입 지원책 강화 및 개인정보 감독기구의 인사와 예산의 독립성을 제도적으로 보장을 주요 공약으로 밝혔다.

이용자모임은 이날 토론회를 공동주최한 국회의원(국회의원 김세연, 김관영, 홍의락, 김영진)과 공인인증서 및 본인확인 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협약을 체결하고 향후 이를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뜻을 같이했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김관영, 홍의락, 김영진 의원은 국내 인터넷 쇼핑몰에서 도서를 구입하는 시연회에 직접 참여하며 복잡한 본인인증 과정에 진땀을 흘리기도 했다.

이용자모임은 이날 체결된 정책협약에 따라 국회의원들과 추후 관련 법령의 개정을 위해 노력할 예정이며 개정안 발의를 위한 연속토론회를 이어나갈 계획이다.

[서울 = 시민이만드는생활정책연구원]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내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빗썸, 한·중·일·영어 4개 국어 서비스 개시
비자 체크아웃 등록 소비자 2000만 명 돌파
금융 기사목록 보기
 
인기뉴스
속보) 윤석열 전 대통령, 12∙3 비상..
속보) 조국혁신당, 윤석열 전 대통령 처가 요양원 ..
딥페이크 기술 악용 로맨스 스캠, 120억 원 피해..
속보) SK텔레콤, 별도 신청 없이 유심 보호 서비..
속보) 대법원, 이재명 공직선거법 사건 기록 서울고..
 
최신 인기뉴스
SKT, 유심 교체 100만 명 돌파, 대리점 신규..
트럼프 대통령, 외국 영화에 100% 관세 부과
정치칼럼) 대선 29일 "대한민국 turning p..
속보) SK텔레콤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자 2411만 ..
백종원, 모든 방송 활동 중단 선언…“더본코리아 성..
 
회사소개 광고안내 이용약관 개인보호취급방침 이메일수집거부 기사제보 구독신청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