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벼룩시장구인구직 “재취업 경단녀, 정규직은 10명 중 4명뿐”

최경석 기자 | 입력 19-06-27 17:22

결혼, 출산, 육아 등으로 일을 쉬다 재취업한 여성 10명 중 4명만이 정규직인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밀착 일자리를 제공하는 벼룩시장구인구직(대표 장영보)이 경력단절 후 재취업한 여성 3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정규직’으로 재취업이 되었다고 답한 응답자는 40.3%에 머물렀다. ‘비정규직’은 27.9%였으며 그 외 ‘아르바이트(16.2%)’, ‘시간선택제(10.4%)’, ‘프리랜서(5.2%)’ 순이었다. 

경력단절 후 재취업한 여성은 ‘30대(35.1%)’가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40대(33.1%)’, ‘50대(14.3%)’, ‘20대(11%)’, ‘60대 이상(6.5%)’로 40대, 50대의 재취업률이 높은 편이었으며, 이 중 정규직으로 재취업한 여성은 ‘40대(41.2%)’가 ‘30대(37%)’보다 높게 나와 눈길을 끌었다. 

경력단절 전과 동일 업·직종으로 재취업에 성공한 경우는 절반가량에 머물고 있었다. ‘동일 업·직종으로 재취업’했다는 응답자는 54.5%였으며 ‘완전히 새로운 업·직종으로 재취업’했다는 응답자도 45.5%나 되었다. 

재취업한 직종으로는 ‘서비스직(37%)’이 가장 높았고 ‘사무관리직(35.7%)’, ‘단순노무직(16.2%)’, ‘영업판매직(8.4%)’, ‘생산기술건설직(2.6%)’ 순이었다. 

이 중 경력 단절 전과 동일 직종으로 재취업한 경우는 ‘사무관리직(42.9%)’이 가장 많았으며 다른 직종으로 재취업한 경우는 ‘서비스직(31.4%)’이 가장 많았다. 특히 다른 직종으로 재취업한 경우 ‘서비스직’에 이어 ‘사무관리직(28.6%)’, ‘단순노무직(24.3%)’ 순으로 단순노무직으로 직종을 변경하여 재취업하는 비율이 높은 편이었다. 

재취업까지 경력이 단절되었던 기간은 평균 4년이었으며 재취업을 위해 구직활동을 한 기간은 평균 5.7개월로 집계됐다. 

재취업까지 경력이 단절되었던 기간은 ‘1~3년’이 48.1%로 가장 많았으며 ‘3~5년(26%)’, ‘5~7년(13%)’, ‘10년 이상(9.1%)’, ‘7~10년(3.8%)’ 순이었다. 

재취업을 위한 구직활동을 ‘3~6개월(40.3%)’ 동안 했다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으며 ‘3개월 미만(26%)’, ‘6~9개월(16.9%)’, ‘9~12개월(9.7%)’, ‘1년 이상(7.1%)‘이 뒤를 이었다. 

한편 구직활동 중 경력단절여성 취업 지원 정책의 경험 유무를 묻는 질문에는 81.8%가 ‘경험한 것이 있다’고 답했다. 

경험해본 지원 정책으로는 ‘여성새로일하기센터의 재취업 지원 및 컨설팅(29.4%)’을 가장 많이 꼽았고 이밖에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28.6%)’, ‘내일배움카드를 통한 재취업 교육 수강(26.2%)’, ‘경력단절여성 취업박람회 참석(15.9%)’이었다. 

경험한 경력단절여성 취업 지원 정책이 재취업에 도움이 되었냐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74% ‘도움이 되었다’고 답해 재취업 성공에 취업 지원 정책이 도움이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서울 : 벼룩시장구인구직]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벼룩시장구인구직 “직장인 2명 중 1명, 여름휴가 기간 중 이직 준비”
GS리테일, 동부산 오시리아관광단지 테마파크 착공 및 지역 일자리 창출 협약 진행
사회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BTS 정국 등 유명인 명의 도용, 390억 갈취..
"치위생사, 치과·버스정류장서 여성 수백 명 불법..
"정청래, 구미 고공 농성장 찾아 해결 약속…세계 ..
단독) "김건희 여사 특검 조사, 진술 거부권 행사..
속보) 한은 총재 "이론적으로 기준금리 1%p 인하..
단독) 윤석열, 내란 재판 6회 연속 불출석…
속보) 김건희 특검, '드론업체 로비' 의혹…전 총..
이재명 대통령, 3박 6일 한미일 순방 마치고 귀국..
속보) 코스피 3175.33(▼11.83p, 0.3..
법원, 한덕수 전 총리 구속영장 기각…"방조 혐의 ..
 
최신 인기뉴스
단독)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회의
"대전시당"..
이커머스 전문 기업 "셀업 유니온" 가성비 좋은 자..
'9월 재혼' 김병만, 이혼 심경 첫 고백…"전처에..
부산 사상공단 공장서 LPG 폭발…2명 중상·초등..
이재명 대통령 "한반도 평화·비핵화 위해 긴밀 협..
단독) 故 노무현 대통령 참배 "조국 눈물"
"동맹의 새 시험대"... 한ㆍ미, 워싱턴서 첫 정..
속보) '주주 이익 보호' 명문화... 이사의 충실..
수도권 기습 폭우…밤사이 중부지방 시간당 50mm ..
속보) 김건희, 4차 소환조사서도 '묵비권'…특검 ..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