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월 500만원 버는 헬퍼도” 심부름 앱 ‘해주세요’, 출시 6개월 만에 헬퍼 5만명 등록

장기문 기자 | 입력 21-12-29 23:52



하이퍼로컬(대표 조현영)은 올 6월 출시한 심부름 애플리케이션(앱) ‘해주세요’의 헬퍼가 출시 6개월 만에 5만명을 넘어섰다고 29일 밝혔다.

해주세요는 사용자 인근을 중심으로 누구나 △배달·장보기 △설치·조립·운반 △청소·집안일 △돌봄·동행 △벌레잡기 등의 카테고리 안에서 심부름을 요청할 수 있고, 동시에 헬퍼 등록을 통해 이웃 심부름을 대행해 주고 비용도 받을 수 있다. 지역 내 다양한 심부름을 연결해 동네 이웃 간 서로 도움을 주고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다.

이런 서비스 경쟁력을 바탕으로 해주세요의 헬퍼는 출시 6개월 만에 5만명을 넘어섰다. 최다 수익금을 가져간 헬퍼는 닉네임 ‘패스트스피드’를 쓰는 33세 남성 사용자로, 지난달 약 500만원의 수익을 올렸다. 패스트스피드 헬퍼가 수행해온 누적 심부름 건수는 400개가 넘었으며 내용도 배달, 줄서기, 이삿짐 정리 등 다양하다.

해주세요의 빠른 성장 배경에는 코로나19 확산 이후 크게 늘어난 ‘긱 이코노미(Gig Economy)'가 있다. 최근 비대면 업무와 재택근무가 늘면서 한 회사에 얽매이지 않고 여러 일을 동시에 맡거나 또는 임시직 형태로 특정 프로젝트나 업무를 수행하는 이들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실제 긱 이코노미 시장 규모는 매년 크게 성장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 조사 기관 ‘슈타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산 이전인 2019년 약 284조원이었던 긱 이코노미 시장 규모는 2023년 약 521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조현영 하이퍼로컬 대표는 “해주세요는 급한 상황에서 타인의 재능, 도움을 요청하는 고객들이 많기 때문에 단가도 높고 팁도 많은 편이라 헬퍼들의 만족도가 높다”면서 “앞으로도 지역 수요와 개인 재능을 연결해 주는 생활 편의 서비스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해주세요는 1인 스타트업으로 시작해 투자 유치 없이 출시 5개월 만에 30만 다운로드를 달성하는 성과를 거뒀다. 주요 서비스 경쟁력으로 △시간 대비 효율적 보상 △전문가 영역으로 구축된 ‘헬퍼 시스템’ △특정 영역에 국한되지 않고 모든 카테고리를 아우르는 심부름 특화 플랫폼 구성 등이 꼽힌다.

[서울 : 하이퍼로컬]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화시스템, ‘군위성통신체계-II’ 위성 단말기 공급
일룸 디지털 VR 쇼룸, ‘웹어워드코리아 2021’ 대상 수상
기업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속보) 김건희, 4차 소환조사서도 '묵비권'…특검 ..
단독) 故 노무현 대통령 참배 "조국 눈물"
수도권 기습 폭우…밤사이 중부지방 시간당 50mm ..
속보) 한덕수 전 총리 운명의 날, 27일 결정…'..
속보) 내란특검 칼끝, 법무·검찰 수뇌부로…박성재..
속보) '주주 이익 보호' 명문화... 이사의 충실..
'사망자 금목걸이 절도' 30대 검시 조사관 구속영..
속보) 내란특검, '내란 우두머리 방조, 위증' 혐..
속보) 코스피 3195.14(▲26.41p, 0.8..
"동맹의 새 시험대"... 한ㆍ미, 워싱턴서 첫 정..
 
최신 인기뉴스
속보) 서울고검, '김건희 허위경력 의혹' 재수사 ..
내란특검, 한덕수 前총리 구속영장 초읽기…'헌정사상..
'R&D 예산 35조'…과학계 '잃어버린 3년' 딛..
대검 감찰부, '관봉권 띠지 분실' 서울남부지검 압..
李대통령, 日·美 순방길 올라… 오늘 오후 이시바..
속보) '노란봉투법' 본회의 상정, 野 필리버스터…..
속보) 전자발찌 끊고 도주한 40대 성범죄자, 하루..
절기 '처서' 무색한 폭염…주말 내내 찜통더위 속 ..
서울 구로구 고등학교 분리수거장서 수류탄 발견…군경..
李대통령 "한일, 이웃 같아‥통상안보 국제질서 요동..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