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현대차그룹, ‘전기차 충전 서비스 플랫폼’ 개발해 이피트에 적용

김미영 기자 | 입력 22-04-11 23:27



현대자동차그룹은 전기차 충전 서비스 품질 제고 및 고객 편의 확대와 충전 사업자 육성을 위한 ‘전기차 충전 서비스 플랫폼(E-CSP, E-pit Charging Service Platform)’을 개발해 전국 ‘이피트(E-pit)’에 적용하고 충전 사업자에게 개방해 국내 충전 생태계의 질적·양적 성장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전기차 충전 서비스 플랫폼(E-CSP)은 △충전소 운영을 위한 관제 시스템 △충전 사업자와 회원 간 충전 중개를 위한 로밍 시스템 등으로 구성돼 중장기적으로 국내 전기차 충전 사업의 확장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기존 충전 사업자들은 전기차 충전 서비스 플랫폼(E-CSP) 활용 시 서비스 개발과 운영 부담이 줄어 효율적인 사업 운영할 수 있으며, 신규 사업자들은 충전 시장 진입이 한층 쉬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전기차 충전 서비스 플랫폼(E-CSP)이 적용된 이피트(E-pit)는 △회원가입 및 차량등록 절차 간소화 △블루/기아 멤버스 포인트 전환 후 사용하던 방식 실시간 차감 방식으로 개선 △충전소 정보 고도화 및 고장 최소화 등으로 안정적 충전 서비스 이용을 할 수 있다.

또한 앞으로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확대 개편해 △제휴사별 충전 회원카드가 없어도 이피트(E-pit) 회원이면 제휴 충전소에서도 이피트(E-pit)와 유사한 수준의 서비스 제공 △유연한 요금제 △멤버십 패스 생성으로 충전 요금 추가 할인 혜택 △요금 지불 가능한 제휴 포인트 확대 등 고객 편의를 증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현대차그룹은 11일(월) 안성휴게소(서울 방향)를 시작으로 15일(금)까지 차례대로 이피트(E-pit) 운영을 재개하며, 전기차 충전 서비스 플랫폼(E-CSP)’을 기존 충전소에 더해 신규 개소 예정인 충전소에도 적용해 이피트(E-pit)만의 프리미엄 충전 서비스를 전국적으로 지속해서 확대할 예정이다.

현대차그룹은 이달 내 제주도 지역 최초로 ‘제주 새빌 이피트(E-pit)’를 개소할 예정이며, 상반기 중 △마포 △판교 △광명 등 주요 도심지에 이피트(E-pit)를 오픈하는 등 인구 50만 명 이상 주요 도심지에 지속해서 구축해 전기차 충전 생태계를 이끌어가는 전기차 선도기업으로서 위상을 공고히 한다는 계획이다.

이 외에도 올해부터 다양한 사업자와 추가적인 제휴 모델을 개발해 초고속 충전기 확대 보급을 전면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현대차그룹은 이피트가 지난해 론칭 후 전기차 충전 서비스에 대한 고객 불만을 개선하고 충전 인프라 확대를 견인했다며, 신규 개발한 충전 서비스 플랫폼 론칭과 지속적인 충전 인프라 확장으로 충전 생태계 질적·양적 성장에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해 4월 정식 론칭한 이피트(E-pit)는 가입 회원 4만 명에 육박하는 등 국내 대표 전기차 충전 서비스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서비스 운영 임시 중단으로 불편을 겪었을 고객들에게 11일(월) 순차 운영 재개 충전소부터 24일(일)까지 이피트(E-pit) 회원 대상으로 요금 할인 이벤트도 실시한다.

[서울 : 현대자동차]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GS리테일, 올해 첫 채용설명회 메타버스서 진행
삼성전자, 차세대 N-ERP 시스템 전 세계 법인 도입 완료
기업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대전 도시철도 2호선 트램, 45개 정거장 명칭 최..
대학가, AI 연구 열풍 속 '전력 절벽' 직면....
젠슨 황의 '통 큰 선물', 단순한 친교 넘어선 미..
비수도권 사립의대 졸업생 절반 이상, 수도권 병원 ..
이재명 대통령 "다카이치 총리 만나보니 걱정 사라져..
대전 도시철도 2호선 수소트램, ‘수소경제특별시’ ..
김선영 YTN 앵커, 별세한 백성문 변호사 추모 <..
이재명 대통령, APEC 정상들과 단체 기념촬영....
이태원 참사 트라우마, 36년 전 '힐즈버러 참사'..
"한반도 평화, 아태지역 번영의 필수 조건"... ..
 
최신 인기뉴스
단독) 한국미디어일보 '2025 대한민국 신뢰받는 ..
속보) 코스피, 사상 최고치 경신 하루 만에 하락 ..
단독) K-뷰티 전문가 양성 위한 ‘Director..
윤석열 전 대통령 구치소 발언 "술 안 마시니 건강..
캄보디아 발 "부건" 조직 사기단 45명 전원 구속..
트럼프 "미국은 역사상 가장 강한 경제...
..
단독) 한국미디어일보 2025년 신뢰받는 의료인 홍..
지귀연 재판부 담당, "서해 공무원 피격 은폐" 1..
이재명 대통령, 이태원 참사 3주기 "국가 부재 사..
속보) 코스피, 4060선 상승 출발…또 사상 최고..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