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중소기업 75.1% 신입사원 1년 안에 퇴사

최종호 기자 | 입력 16-09-29 22:01

취업포털 잡코리아(대표이사 윤병준)가 최근 1년 이내 신입사원을 채용했던 국내 중소기업 채용담당자 746명을 대상으로 ‘중소기업 신입사원 퇴사율’에 대해 조사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사진제공: 잡코리아)


신입사원 중 입사 후 1년 안에 퇴사한 직원이 있느냐는 질문에 ‘있다’고 답한 곳은 75.1%였으며, ‘없다’고 응답한 곳은 24.9%에 그쳤다.

채용인원 수 대비 퇴사 인원의 경우 전체 41.5% 비율로 나타났다. 이는 중소기업이 평균 10명의 신입사원을 채용 할 경우 4명 정도가 1년 안에 퇴사한다는 계산이다.

퇴사하는 시기를 살펴보면 ‘3개월 안에 퇴사’한다는 응답자가 48.8% 비율로 가장 많았다. 이어 △6개월 안에 퇴사(25.2%) △1개월 안에 퇴사(13.2%) △9개월 안에 퇴사(7.1%) △1년 안에 퇴사(4.6%) △기타(1.1%) 순으로 조사됐다.

퇴사직원이 가장 많은 근무부서로는 ‘영업·영업관리(28.8%)’가 차지했다. 이어 △생산·현장(18.6%) △IT직(12.0%) △디자인(10.2%) △기획·인사(6.1%) △고객상담.서비스(5.7%) △연구개발(5.2%) △재무회계(4.6%) △광고·홍보(2.3%) 등의 순이었다.

인사담당자가 신입사원들과 퇴사 이유(*복수응답)에 대해 상담한 결과, ‘적성에 맞지 않는 직무’가응답률 43.6%로 가장 많았다. △연봉이 낮아서 39.6% △실제 업무가 생각했던 것과 달라서 37.3% △업무 강도가 높아서 31.4% △회사의 비전이 없다고 생각해서 28.0% △야근이 잦아서 17.7% △복리후생에 만족하지 못해서 16.6%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잡코리아 변지성 팀장은 “최근 취업난으로 인해 구직자들이 일단 취업 먼저 하려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결국 조직 및 직무에 적응하지 못해 조기퇴사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 “기업들의 입장에서도 채용공고 등록 시 채용하려는 직무 및 업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해주는 것이 기업에 적합한 인재를 채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삼성전자, 올 4분기부터 내년 1분기까지 노트7 판매실기 기회손실 3조원 중반 전망
삼성전자, 미국 럭셔리 가전 업체 데이코와 공식 인수식 가져
기업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정부, 역대 최대 728조 "AI 시대 첫 예산" ..
엔비디아 '블랙웰' 한국 공급 약속, 트럼프 "미국..
칼럼) 65세까지 일해야 하는 시대가 다가오고 있..
추경호 영장 발부되면 국힘 치명타…권성동과는 차원 ..
北, 내년 3월 대규모 열병식 개최 검토…트럼프 대..
민주당, 정년 65세 연내 입법 추진…“소득 공백 ..
이재명 정부, 728조 원 ‘AI 시대 첫 예산’ ..
이재명 대통령, 국회 입장하며 빈 국힘석 향해
세종 국가상징구역, ‘완성형 행정수도’로…대법원·..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새벽 배송 금지' 사회적..
 
최신 인기뉴스
세종 국가상징구역, ‘완성형 행정수도’로…대법원·..
역대 최대 10월 수출액 달성, 무역수지 흑자 행진..
미-중 무역 합의 발효 임박, 한화오션 美 자회사 ..
오타니 쇼헤이, 월드시리즈 MVP 야마모토 극찬 "..
한중, 11년 만의 국빈 방한으로 한중 관계 새 장..
한국-중국, 초국가 범죄 척결 위해 경찰·공안 '..
대한민국-싱가포르, "전략적 동반자 관계" 격상....
김선규 전 공수처장 직무대행, "채상병 사건 수사 ..
경기도교육청 372억 "고3 사회진출 예산", 연말..
더불어민주당, '재판중지법' 당론 추진 본격화 선언..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