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일극체제에 대응할 남부권 핵심 성장 동력이 될 경상남도의 양대 교통 인프라 사업이 10일, 동시에 본궤도에 올랐다. 전남 여수에서 부산까지 남해안의 섬들을 잇는 '남해안 아일랜드 하이웨이'의 핵심 구간이 국도로 승격 지정됐고, 동남권 메가시티의 혈맥이 될 '부울경 광역철도' 사업은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를 최종 통과했다. 경남의 미래 지도를 바꿀 두 개의 거대 프로젝트가 한날 확정되면서, 남해안권 관광 및 경제 지형의 대격변이 예고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이날 '국도 승격 및 노선 지정' 고시를 통해, 경남 남해군 창선면에서 통영시 도남동까지 이어지는 43km 구간을 국도 5호선의 연장 노선으로 신규 지정했다. 이로써 총 152km에 달하는 '남해안 아일랜드 하이웨이' 구축 계획의 마지막 퍼즐이 맞춰졌다. 이 사업은 총 2조 4,600억 원의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는 대역사로, 남해 창선-통영 수우도-사량도-한산도를 거쳐 거제 동부면까지 총 5개의 대형 해상교량을 건설해 섬과 섬, 육지와 육지를 연결하게 된다.
이 해상 국도가 완성되면 현재 1시간 이상 걸리는 남해-통영 간 이동 시간은 30분대로 단축되고, 이동 거리 역시 절반으로 줄어든다. 향후 사천공항의 국제공항 승격, 남부내륙철도 건설과 연계될 경우 남해안권의 접근성은 획기적으로 개선될 전망이다. 경상남도는 이 도로가 전남 서해안의 77번 국도, 경북 동해안의 7번 국도와 연결되어 한반도 해안선을 따라 U자 형태로 국토를 순환하는 국가도로망의 핵심 축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같은 날 기획재정부는 '부울경 광역철도' 건설 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최종 통과했다고 발표했다. 기재부는 "부산·양산·울산 내 주요 거점을 30분대로 연결해 동남권 초광역권 공동체 형성을 뒷받침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부산 노포에서 양산 웅상을 거쳐 울산 KTX역까지 이어지는 이 노선은 기존의 도시철도 4개 노선과 연계되어, 부울경 1시간 생활권 시대를 여는 핵심 인프라다. 이재명 정부의 '5극3특' 국가균형발전 전략의 상징적 사업이기도 한 부울경 광렉철도는 2031년 개통을 목표로, 올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한다.
하루에 두 개의 굵직한 교통 정책을 확정 지은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긴급 브리핑을 열고 "두 사업은 경남이 수도권에 대응하는 남해안 시대의 중심지로 도약하는 기폭제가 될 것"이라며 "남해안 관광산업의 지각변동과 부울경 초광역 경제권 구축을 통해 지역의 새로운 미래를 열겠다"고 강조했다.
다만, 장밋빛 청사진을 현실로 만들기까지는 적지 않은 과제가 남아있다. '남해안 아일랜드 하이웨이'의 경우, 사업 추진에 걸림돌이 될 수 있는 해안내륙법, 자연공원법 등 각종 규제 완화를 위한 법률 개정이 시급하다. 또한, 단순한 도로 건설을 넘어 국제적 수준의 관광벨트를 조성하기 위한 지자체 간의 긴밀한 협력과 연계 사업 발굴도 필수적이다. 경남도는 두 거대 사업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여 지역의 미래 가치를 높이는 데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겠다는 방침이다.